![]() |
![]() ![]() ![]() ![]() ![]() |
목차 목 차 논문개요 Ⅰ. 서론 1. 연구 목적 2. 선행 연구 3. 연구 방법과 범위 Ⅱ. 한국적 패션 디자인의 미적 특성에 관한 이론적 배경 1. 한국적 패션 디자인에 대한 정의 2. 한국적 패션 디자인의 미적 특성 (1) 외형적 특성 1) 선, 형태 2) 색채 3) 소재 4) 문양, 장식 (2) 내면적 가치 1) 순수미 2) 해학미 Ⅲ. 국내외 패션 디자인에 나타난 한국적 디자인에 대한 사례분석 1. 외형적 특성 (1) 선, 형태 (2) 색채 (3) 소재 (4) 문양, 장식 2. 내면적 가치 (1) 순수미 (2) 해학미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그림목차 표목차 본문 Ⅱ. 한국적 패션 디자인의 미적 특성에 관한 이론적 배경 1. 한국적 패션 디자인에 대한 정의 한국적 패션 디자인이란 한국적 이미지를 발현시키는 디자인을 의미하므로, '한국적 이미지'를 디자인을 통해 물체에 투영시켜, 그 결과물에서 한국이라는 정체성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디자인이라 할 수 있다. 즉, 디자인 대상이 한국적 이미지를 표출하게 만드는 디자인을 말한다. 여기에서 말하는 한국적 이미지란 한국이라는 나라에서 받는 느낌으로 심상, 영상 및 인상을 뜻한다. 최경희, 엄준희, 김민자의 연구(2003)에 따르면 한국적 이미지는 한국이라는 정체성을 드러내는 것으로써 역사 속에서 형성 되어온 미적 가치를 바탕으로 창조 또는 재생산된 가시적인 형상을 지칭한다. 위에서 언급한 '한국적'이란 타국, 혹은 타민족과는 구별되는 독특한 삶의 방식 및 태도 등을 의미한다. 이는 한국인이 살아오면서 형성해 온 가치관, 윤리관, 자연관, 세계관 등을 모두 포괄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한국적'이란 장시간 동안 자연스럽게 형성된 한국만이 가진 독특성을 의미하는 것이다. 한국적 이미지가 나타내는 한국적인 것, 즉 한국적 독특성은 한국의 역사, 문화 및 풍토 등의 특징을 분석하여 공통된 특질들을 취합함으로써 그 의미를 이끌어 낼 수 있다. 김은정(2004)은 한국적 독특성을 형성하게 된 배경을 한국의 자연 및 풍토, 사회 및 민족성, 그리고 종교와 사상으로 나누어 설명하였고, 이러한 배경들로 인해 소박하고 순수하며 천진난만한 한국만의 특질이 형성되었다고 말한다. 한편 강희경(1998)은 한국적이라는 개념은 옛 것의 형식적인 재현이나 모방이 아닌 순수한 한국의 정신문화 전통과 현대화 요구의 충돌을 겪은 후 생겨난 역사적 경험의 산물이라 밝히고 있다. 따라서 한국적 독특성이란 역사적으로 형성되어온 것들 중 타국 및 타민족과 구별되는 한국만이 가진 형식과 정신들을 바탕으로 재창조 및 재생산된 특질이라 정리할 수 있다. 1980년대 중반 이후로 패션디자인은 물론 여러 분야에서 전통을 되찾고자 하는 의식과 함께 한국적인 미를 찾고자 하는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2. 한국적 패션 디자인의 미적 특성 (1) 외형적 특성 1) 선, 형태 한반도는 노년기성 대지로 인해 자연 풍광이 완만하고 부드러운 느낌의 곡선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풍토적 성향 속에서 한국 전통의 조형미가 성장하였고, 자연적 완곡선은 한국 전통적 선의 주류를 이루며 의복과 생활용품, 공예품, 건축물에 이르기 까지 사람을 둘러싼 전반에 영향을 미쳤다. 한복의 도련과 배래, 버선의 곡선은 실용성이나 기능성보다는 오히려 심미적 욕구 때문에 나타난 선인데, 이는 완곡선이 나타난 의복 가장자리에 검정색 가는 선을 첨가하여 곡선이 들어간 부분을 강조한 경우를 통해 알 수 있다<그림 Ⅱ-1>. 저고리에서 보이는 많은 곡선들은 깃의 V-네크라인 및 과도한 비대칭을 이루고 수직으로 떨어지는 고름의 강한 직선과도 조화를 이루는데, 한복은 이러한 직선과 곡선이 만나 엮어내는 유연한 선의 흐름에서 그 아름다움을 찾을 수 있다. 또한 한국의 선은 복식의 실루엣에서도 살펴볼 수 있다. 서양 복식에서는 허리를 신체 중 가장 중요한 수평선으로 인식하여, 상의와 하의를 허리에서 분리하여 허리를 강조하는 실루엣을 많이 보인다<그림 Ⅱ-2>. 이에 반해 한국 전통 복식에서는 허리와 가슴 사이의 윤곽을 뚜렷이 구분하지 않고 주름, 착의법, 속옷 등을 이용해 전체적으로 완만한 사람 인(人)자 모양의 A-라인의 실루엣을 나타낸다<그림 Ⅱ-3>. 이는 허리선에 자유로움을 줌으로써 유연하게 흐르는 수직적 선을 나타낸 것이라 할 수 있다(최세완 1992). 그림 Ⅱ-1 배자 . 그림 Ⅱ-3 신윤복, 미인도 참고문헌 참 고 문 헌 단행본 고연희. 『조선시대 산수화-아름다운 필묵의 정신사』. 서울: 돌베게, 2007. 권영필 외5인. 『한국미학 시론』. 서울: 고려대학교한국학연구소, 1994. 김민자. 『한국 패션디자인의 제다움 찾기』.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09. 김영자. 『한국 복식미 탐구』. 서울: 경춘사, 2009. 금기숙. 『조선복식미술(朝鮮服飾美術)』. 서울: 열화당, 1994. 오주석. 『옛 그림 읽기의 즐거움2(개정판)』. 서울: 솔, 2006. 이경자. 『우리 옷의 전통 양식』. 서울: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3. 이동주. 『우리 옛 그림의 아름다움-전통회화의 감상과 흐름』. 서울: 시공사, 1996. 이재만. 『한국의 전통색』. 서울: 일진사, 2011. 최순우. 『한국미술(韓國美術,1-3)』. 서울: 陶山文化社, 1993. 하용득. 『한국의 전통색과 색채심리』. 서울: 명지, 1989. 한국고문서학회. 『의식주-살아있는 조선의 풍경』. 서울: 한국고문서학회, 2006. 허 균. 『전통문양』. 서울: 대원사, 1995. 연속간행물 금기숙. 「조선 복식미의 탐구」. 『한국복식학회』14. (1990): 167-81. 김영자. 「문예물에 표현된 한국 복식미의 특성」. 『동양학』19. (1989): 399-429. 한은영. 「한국 전통복식에 나타난 백색에 관한 연구 : 한국의 회화 민화에 나타난 전통복식을 중심으로」. 『브랜드디자인학연구』3, 3. (2005): 63-74. 학위논문 권윤숙. 「우리나라 단청의 문양과 색채연구」. 석사학위논문. 홍익대학교 대학원, 1992. 김윤희. 「현대 한국적 복식에 나타난 인체와 복식에 대한 미의식」.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8. 김양호. 「전통 문양의 동영상화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국민대학교 대학원, 1988. 김은정. 「현대 패션에 나타난 한국적 디자인 표현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방옥자. 「조선시대 무속에 나타난 색채상징 연구: '무당내력'에 표현된 무복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한신대학교 대학원, 2007. 백민영. 「한국적 색채 특성 분석에 따른 트렌드 색채기획」. 석사학위논문. 대구카톨릭대학교 대학원, 2010. 윤희경. 「한국의 전통적 미의식과 오방색에 관한 연구 : 본인 작품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이수련. 「한국 전통색의 연구 : 단청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한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최세완. 「현대 패션에 표현된 한국복식의 전통미」.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2. 키워드 복식미, 패션디자인, 년대, 사례 |
2017년 10월 9일 월요일
2000년대 국내외 패션디자인에 표현된 한국적 복식미 사례 연구
2000년대 국내외 패션디자인에 표현된 한국적 복식미 사례 연구
바로크 시대의 미술
바로크 시대의 미술
![]() |
![]() ![]() ![]() ![]() ![]() |
목차 1.바로크미술의 개념 2. 바로크 시대를 대표하는 화가 1)카라바조 2) 루벤스 3) 렘브란트 3.로코코미술의 개념 4.로코코 미술의 특징 본문 르네상스와는 완전히 이질적인 양식이어서 근대미술에 서의 2대 정점을 형성하는 것이라고 규정- 반종교개혁의 유력한 표현수단이 되어 여러 가톨릭 국가 에서는 종래의 종교적 도상(圖像)을 일신하고 종교미술에 신선한 입김을 불어 넣음 귀족들의 표현수단이기도 하여 화려 호사한 의식을 과시하고 장식하는 구실을 다함 그리스 로마 신화의 한 내용 레다와 제우스 사이에서 태어난 형제 카스토르와 폴리데우케스가 레우키포스의 딸들을 납치해서 결혼하는 장면 이 그림에서 루벤스의 훌륭한 육체표현기법이 가장 두드러지게 표현됨 중앙에는 전쟁의 신 마르스가 있고, 그를 만류하는 그의 연인 비너스가 보임. 왼쪽에 평화시에는 닫혀있는 야누스 신전의 문이 열려있고, 마르스는 문학과 교향의 책을 짓밟으며 기근과 노여움이 있는 쪽으로 가고있음. 아래 조화를 상징하는 류트는 부러지고, 평화를 상징하는 아이안은 어머니는 위협받고 있음. 오른쪽 맨 하단에 있는 남자는 건축가의 상징을 들고있는데 는 전쟁으로 미술품과 문화재 같은 것들도 파괴된다는 의미 - 가운데 인물은 부시장 프랑스 반닝 코크 - 질서정연하기 보다는 다소 소란스러운 느낌. - 명암 대비의 강약 효과를 통하여 인물들의 얼굴을 부각 - 인물들의 배치 및 자세를 극적으로 구성함으로써 무미건조할 수 있는 - 주제를 역동적인 작품으로 탄생. 하얀 옷을 입고 이 민병대의 상징인 - 닭을 허리에 매달고 있는 소녀와 코크 및 부관은 빛을 받고 있는 듯 주위보다 밝게 표현. 키워드 바로크, 미술, 시대 |
미술속의 수학
미술속의 수학
![]() |
![]() ![]() ![]() ![]() ![]() |
목차 탐구동기 탐구목표 탐구내용 창의적 산출물 탐구를 마치며 참고문헌 및 사이트 본문 석굴암 본존 불상의 얼굴 너비는 2.2자, 가슴 폭은 4.4자, 어깨 폭은 6.6자, 양 무릎의 너비는 8.8자로 비는 1:2:3:4가 된다. 여기서 기준이 되는 1.1자는 본존 불상 높이의 10분의 1이다. 이 10분의 1이라는 비율은 헬레니즘 시대의 사상가 비트루비우스가 그의 저서 '건축서'에서 말한 균제 비례와 같다. 참고문헌 네이버 지식인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28&aid=0000031448 http://www.cybercam.co.kr/lecture/free/abstract/contents/contents28.htm http://mybox.happycampus.com/yunwoo0707/2075030/?agent_type=naver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lgsland&logNo=40120698605 구글 박경미-'수학비타민'등등 키워드 미술속, 미술, 수학 |
스포츠 축구와 자본주의- 축구와 자본주의를 중심으로
스포츠 축구와 자본주의- 축구와 자본주의를 중심으로
![]() |
![]() ![]() ![]() ![]() ![]() |
목차 1.축구시장에서의 자본의 창출과 효과 2.프리미어리그 -자본주의와 프리미어리그 성공요인 3. 프리미어 리그 문제점 4. 결론 본문 축구도 자본주의의 태동 이후에 거대 자본이 유입되면서 고액의 연봉을 받는 스타들이 생겨났고 그 영향력은 날로 커지고 있다. (1)경기장의 입장료 맨유.첼시 등 빅클럽의 경기는 티켓가격이 지나치게 비싸고 또 표 자체를 구하기가 힘들다. 키워드 자본주의, 스포츠, 축구, 중심 |
복식패션 머츄리얼리즘
복식패션 머츄리얼리즘
![]() |
![]() ![]() ![]() ![]() ![]() |
목차 1.'머츄리얼리즘'이란? 2.유명인 머츄리얼리즘 사례 3.일반인 머츄리얼리즘 사례 4.머츄리얼리즘만의 특별함 5.머츄리얼리즘의 의의 본문 웰 루킹(well looking) 중년여성이 외모에 적극 투자하는 현상 줌마렐라(아줌마+신데렐라) 경제적인 능력이 있으면서 적극적인 사회생활을 영위하는 30대에서 40대 후반의 기혼여성 그간 침묵했던 중장년층이 이제 자신의 목소리를 내고 적극적인 소비 성향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들은 실제적인 영향력을 지닌 구매자라는 점에서 기업들이 관심을 갖고 지켜볼 필요가 있습니다 경제적 주체인 그들의 감춰진 마음 속 욕망을 세세히 살펴보고 이해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봅니다 그 동안은 서구에 비해서 "어른"에 대한 문화적 관념이 있었던 우리나라의 중년 패션은 크게 두드러지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최근 중년층으로 접어드는 세대의 의식은 이전 세대와 많이 다름과 동시에 각종 미디어 매체의 영향 등으로 인해서 중년층이 패션 등 자신을 꾸미는 것에 관심을 가지고 실제로 표현하게 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사회, 타인의 이목을 의식하지 않고 자아와 개성을 표현하는 것을 주저하지 않게 되었다는 점에서, 우리에게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의미를 가진다고 보여집니다. 키워드 복식패션, 머츄리얼리즘, 리얼리즘, 복식, 머츄 |
다양한 패션마케팅
다양한 패션마케팅
![]() |
![]() ![]() ![]() ![]() ![]() |
목차 1.패션 마케팅이란 ? 2.오감 마케팅 3.디지털 마케팅 4.스타 마케팅 5.심리 마케팅 6.Implication 본문 휴대폰이 시계의 역할을 대체 시계수요량이 대폭 감소 시계는 단순히 시간을 표현하는 도구가 아니라 패션 아이템 중 하나라고 광고 & 다양한 디자인을 선보이는 시각 마케팅 진행 소비자도 시계를 악세서리로 생각해 높은 구매욕구를 보임 소비자들과 소통의 장을 마련하여, 브랜드를 조금 더 친숙하게 느낄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음 패션쇼장에 가지 않고도 컬렉션을 볼 수 있으며, 자유롭게 질문할 수 있다는 장점으로 네티즌들의 뜨거운 반응을 얻음 키워드 패션마케팅, 마케팅, 패션, 다양 |
패션과 영상 스타 스타일과 영화 속 패션 스타일
패션과 영상 스타 스타일과 영화 속 패션 스타일
![]() |
![]() ![]() ![]() ![]() ![]() |
목차 목 차 1. 스타 스타일의 정의와 스타 시스템 2. 영화 의상의 개념 3. 스타 스타일 가. 그레타 가르보 1) 그레타 가르보의 삶 2) 그레타 가르보 스타일 3) 영화소개와 영화 속 패션 스타일 4) 현대의 스타 스타일 재현 나. 마를렌 디트리히 1) 마를렌 디트리히 의 삶 2) 마를렌 디트리히 스타일 3) 영화소개와 영화 속 패션 스타일 4) 현대의 스타 스타일 재현 다. 오드리 헵번 1) 오드리 헵번의 삶 2) 오드리 헵번 스타일 3) 영화소개와 영화 속 패션 스타일 4) 현대의 스타 스타일 재현 라. 마릴린 먼로 1) 마릴린 먼로의삶 2) 마릴린 먼로 스타일 3) 영화소개와 영호 속 패션 스타일 4) 현대의 스타 스타일 재현 4. 참고 문헌 및 사이트 본문 2) 그레타 가르보 스타일 그레타 가르보는 페레가모 슈즈를 즐겨 착용하였다. 30년대 당시의 여배우들 또한 페레가모 슈즈를 선호했다. 이탈리아 크기로 9AA라는 큰 발을 가진 그녀는 페레가모에서 한번에 70족 이상을 주문하였다고 한다. 특히 빨간 샌들과 레이스 업 슈즈, 벨벳소재로 만든 이브닝용 발레리나 슈즈 등을 좋아했다고 한다. 1930년대는 맨 얼굴을 드러내는 것을 수치라고 생각하는 시절로 여성의 얼굴을 인위적으로 가꾸었다. 그녀 역시 경제 대공황 절정기에 무거운 일상에서 벗어나기 위한 할리우드의 교묘한 테크닉으로 메이크업과 스타일에 변화를 주었다. 그레타 가르보는 눈썹을 정교하게 뽑은 후 검은 펜슬로 가늘고 둥근 아치형으로 그려서 팜므파탈 이미지를 연출하였다. 또한 검은색과 흰색으로 음영을 강조하여 움푹 꺼진 눈을 아이 홀 기법으로 강조하였고, 인조눈썹과 아이라인으로 눈매를 돋보이도록 메이크업하였다. 3) 영화소개와 영화 속 패션 스타일 1. 로맨스(1930) 그레타 가르보, 루이스 스톤 등이 출연하였고 MGM이 제작하였다. 유명 오페라 스타와 주위 남성들의 로맨스를 다루었다. 여기서 그녀는 아름답고 재능있지만, 과거로 의해 정신적으로 고통 받는 오페라 스타로 출연한다. 매력적인 캐릭터는 그녀의 아름다운 이미지를 한층 더 돋보이게 만들었다. 2. 육체와 악마(1926) MGM에서 제작한 스텔만 원작의 로맨틱한 무성영화로 그레타 가르보, 존 길버트, 라스 핸슨 등이 출연하였다. 레오와 올리치라는 두 소년과 한 요부의 삼각 관계를 다루고 있다. 매력적인 백작부인인 펠리시타가 실상은 악마의 화신이었다는 스토리이다. 당대 미남, 미녀의 키스 신이 유명하다. 3. 키스(1929) 그레타 가르보와 MGM의 마지막 무성 영화로 유명하다. 스토리는 매혹적인 어린 여성 이레네가 나이 많은 남성과 사랑 없는 결혼을 하는 것으로 시작된다. 이레네는 남편의 질투심과 학대를 두려워하고, 어린 변호사 안드레만이 유일하게 그녀를 위로한다. 그러나 용기가 없는 이레네를 뒤로한 채, 안드레는 파리로 떠나버리고 만다. 이레네는 자신을 남편에게 구하기 위해 살인을 저지르고 만 피에르라는 소년을 구하기 위해, 경찰에게 잡히고 안드레는 이레네의 누명을 풀어주고 둘의 사랑은 해피 엔딩으로 끝을 맺는다. 4. 니노치카(1939) 세련된 감각의 풍자와 대사가 가득한 영화이다. 러시아(소비에트)는 기아 난을 겪게 되어 보석을 팔기 위해 세 명의 요원을 파리로 파견하지만, 보석 소유주의 대리인인 레옹의 방해로 어려움을 겪게 된다. 이에 모스크바에서 온 냉철한 요원 니노치카(그레타 가르보)가 파리로 오게 되고, 레옹은 니노치카의 새로운 매력에 관심을 가지게 된다. 극단적인 성격의 두 사람이 서로 다른 매력에 이끌려 사랑을 이루어가는 스토리이다. 그 당시 할리우드와 패션계에서 세계 여성들을 이끌어간 그레타 가르보는 육감적인 매력을 과시하며 이상적인 여성은 신비하고 매력적이어야 하기 때문에 드레스에 자극을 주어 여성성의 특징을 회복해야 한다 고 말했다. 그러나 가르보가 출연한 대부분의 영화는 코스툼 드라마였기 때문에, 그 화려한 의상은 일을 하는 일반 여성으로서는 적용하기가 불가능한 것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르보는 당대의 패션에 결정적인 영향을 끼쳤다. 예를 들어 <로맨스>에서의 카플린 모자는 1930년대의 여성들이 일상착용하기에는 어울리지 참고문헌 4. 참고 문헌 및 사이트 1 이희승 최규화(2006), <영 스트리트 패션에 미친 팝 스타의 패션스타일 연구>, 115p 2 자클린 나카시(2004), 최은영 역, <고전 할리우드 영화>, 동문선, 84p 3 박혜명, <씨네 21>, 2006.06.29 4 리타페터(2006), 유영미 역, <불멸의 여성 100>, 생각의 나무, 39 41p 5 이현주, 전연숙, 조진아, 한정아(2005), 6 아마존닷컴 DVD, http://www.amazon.com/Romance-VHS-Greta-Garbo/ 7 티르의 영화마을, http://alchemist_0.blog.me/150098001302 8 http://classicmoviesandbooks.com/2 9 http://blog.naver.com/themikyung?Redirect=Log&logNo=114107511 10 http:// http://kr.blog.yahoo.com/narah_kim/73846 11 박진영 기자, '김남주 재벌가 부인 변신, 우아한 카플린 모자', 아츠뉴스, 2010-12-21 12 위키백과 참조 13 한스 할터(2006), 한윤진 역, <역사를 움직인 157인의 마지막 한마디>, 말글빛냄, 427p 14 최순영 에디터, 'LEGEND OF CLASSICS', 엘르 8월호, 2010-08-19 15 니콜라우스 슈뢰더(2001), 남완석 역, <클라시커 50 영화>, 해냄, 51 129 157p 16 옥선희 영화 칼럼니스트, blog.naver.com/eastok7, 2007.02.17 17 부르크 하르트 뢰베캄프(2005), 장혜경 역, <할리우드>, 예경, 29p 18 이유, http://blog.naver.com/encia004/130100981158, 2011.01.16 19 ELLE Korea, <잃어버린 패션의 황금기를 찾아서>, 2008.01.09 20 알렉산더 워커(2003), 김봉준 역, <아름다운 인생, 오드리 헵번>, 달과 소, 136 487 490p 21 김서나 칼럼니스트, '김서나의 올 댓 트렌드', 이데일리, 2008-01-15 22 네이버 영화정보 참조 23 남후선, 김순영(2005), <영화로 보는 복식사>, 경춘사, 84 86 89 90p 24 문용성 기자, '이혜영, 패션아이콘 오드리 헵번으로 변신', 아시아경제, 2009.11.17 25 이다정 기자, '박시연, 오드리 헵번으로 대변신', 스포츠조선, 2010.10.11 26 차창룡, <네이버캐스트>, 2009.01.14 27 마릴린 먼로(2003), 이현정 역, 28 정윤수, '모두가 사랑했던 여자 마릴린 먼로', 2008.08.05 29 http://www.beauty-and-the-bath.com/marilyn-monroe-hairstyles.html 30 http://stealtheirstyle.co.uk/ 31 http://lingerie.lovetoknow.com/Bullet_Bras 32 http://sew-simple.com/sewing/pencil-skirt-history/ 33 장서윤 기자, ' 린제이 로한, 먼로 누드 46년 만에 재현', 마이 데일리, 2008-02-19 키워드 스타, 스타일, 패션, 영화, 영상 |
색채학 색채를 보편적 의미로 사용하는 항공사
색채학 색채를 보편적 의미로 사용하는 항공사
![]() |
![]() ![]() ![]() ![]() ![]() |
목차 ㄱ. 가루다 항공 파란색은 왜?희망과 신뢰의 상징으로 쓰였을까 ㄴ. 중국 동방 항공 ㄷ. 중화 항공(대만) ㄱ. 에미리트 항공 ㄴ. 케세이퍼시픽 항공 본문 선사시대부터 '파랑'은 영혼을 상징하는 동시에 모든 것을 보호하는 힘을 상징하는 하늘의 색으로 통하였다. 거의 모든 문화권에서 하늘이 믿음의 대상, 신앙의 대상이었기 때문에 하늘을 상징하는 파란색 또한 믿음을 상징하게 되었다. 기독교가 유행한 서구 사회에선 파랑이 여성적이면서도 종교적인 색으로 통했다. 그래서 예수의 어머니인 마리아 옷에 쓰인 색이 파랑이다. 이러한 파랑의 이미지엔 조용함과 자기확신, 믿음과 전통이란 의미가 담겨있다. 파란색 하늘을 닮은 파랑은 물의 이미지다. 계곡을 흘러 바다를 채우고 수증기가 돼 파란 하늘로 올라간다. 이후 다시 비가 돼 다시 땅에 내리는 순환을 계속한다. 하늘과 바다, 그리고 땅에 거쳐 순환을 하는 물의 색인 파랑은 하늘과 바다, 그리고 대지라는 상징적인 의미 또한 갖게 되었다. 빨강색 「막스 뤼셔」색채 실험 연구 교수 빨강은 활동을 의미한다. 좋은 기분이나 감성을 강력하게 표현한다. 긍정적인 의미에서 빨강은 자극, 활동, 정복, 그리고 열망 등의 이미지를 떠올리게 한다. 태양과같이 열정적인 사랑에서부터 강력한 권력에 이르기까지 정열적인 느낌을 가지게 하는 색이다. 키워드 항공사, 보편적, 색채학, 항공, 색채 |
예술철학 예술에 있어서의 정치적 의미
예술철학 예술에 있어서의 정치적 의미
![]() |
![]() ![]() ![]() ![]() ![]() |
목차 <목차> Ⅰ. 서론 1. 팝 아트가 왜 정치적인가 2. '정치'란 무엇인가 협의의 정치와 광의의 정치 Ⅱ. 본론 1. 국가, 종교 차원에서 예술이 정치적으로 이용된 사례(협의의 정치의 의미에서) 2. 민중 예술 3. 페미니즘 예술 4. 인종 문제와 관련된 예술 Ⅲ. 결론 모든 예술은 정치적이다 본문 남성은 여성을 남성을 파멸시키는 존재로 보지만, 여성의 작품에서는 같은 주제도 조금 다른 시각으로 표현된 것을 볼 수 있다. 프란츠 폰 슈툭(Franz von Stuck), <유디트와 홀로페르네스 II>, 1927과 여성화가 젠틸레스키의 <홀로페르네스의 목을 베는 유디트> 를 보면 조금 더 쉽게 구분이 될 수 있다. 프란츠 폰 슈툭의 그림을 보면 유디트는 남성을 유혹하여 죽음으로 이끄는 팜므파탈의 유형으로 그려져 있다. 전후 맥락이 없이도, 이 화가의 여성에 대한 이미지가 그림 하나로 이해가 된다. 그러나 젠틸레스키의 그림을 보면 유디트는 굉장히 적극적으로 홀로페르네스의 목을 치고 있다. "나는 너를 죽여야만 한다"는 강인한 모습이다. 여성을 이렇게 자기 주체적으로 그린 몇 안 되는 여성화가로서, 1800년대의 젠틸레스키는 혁신적이다. 오히려 그녀의 그림에서 왠지 모를 희열을 느낄 수 있다. 비슷한 맥락에서, 주디 시카고의 <출산의 눈물/찢다>라는 작품과 톰 웨셀만의 < Helen> 를 비교 해본다면 더욱 확연히 드러난다. 둘 다 같은 누드이지만, 주디 시카고는 출산하는 여성을 표현하며 '찢는' 고통이 있는 작품을 만들었다. 그러나 톰 웨셀만의 팝 아트 작품은 남성의 입장에서, 누드 여성을 그저 성적인 존재로만 나타냈다. 다른 부분의 색채를 배제하며, 성행위를 위해서 필요한 부분만을 중요하게 나타냈다. 시인 김선우의 <얼레지> 에서는 헤어진 남자친구가 헤어졌던 여성에게 전화를 걸어 '자위를 하느냐' 혹은 '누구를 생각하며 자위를 하느냐'하며 묻는다. 대답하는 여성은 당차게 '아무도 생각하지 않는다. 나 스스로 자위를 한다.'라고 이야기 한다. 여성의 입에서 표현되는 '자위'라는 어색하지만 어색하지 않은 단어, 그리고 누군가를 생각해야만 쾌감을 느낄 수 있다고 무욕의 존재로 여성을 인식하는 전 남자친구, 그런 남자를 비웃기라도 하듯 여성 역시 욕망을 느낄 수 있다고 이야기 하는 당당한 여성. 스스로에게 만족감을 주는 자위의 행위는 남녀 모두가 할 수 있는 것이지만, 우리 사회에서는 자위는 남성의 것, 남성이 하면 괜찮은 것, 혹은 남성의 사춘기에 모두 거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여성의 자위를 수면으로 이끌어 낸다는 것 보다는, 여성 역시도 남성과 같이 감정을 느낄 수 있는 동등한 존재라는 것을 보여주는 작품이다. 중성을 뺀 나머지의 남성과 여성의 두 가지 성이 존재한다면, 현재까지 남성의 스코어가 여성보다 더 크다. 그렇기 때문에 파이를 많이 가진 남성이 우 키워드 예술철학, 정치적, 예술, 의미, 철학 |
피드 구독하기:
글 (At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