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11월 29일 화요일

지역사회복지론 정상화Normalization 이념의 개념과 역사

지역사회복지론 정상화Normalization 이념의 개념과 역사
[지역사회복지론] 정상화[Normalization] 이념의 개념과 역사.hwp


본문
1. 정상화의 개념
정상화에 대하여는 Bank Mikkelsen, Nirje, 그리고 Wolfensberger 등 몇몇 학자들이 주창하였다. 특히 Wolfensberger는 가능한 한 사람들에게 가치 있는 사회적 역할을 습득, 정립, 유지시키기 위해 문화적으로 가치 있는 수단을 이용하는 것 또는 사람들이 문화적으로 가치 있는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문화적으로 가치 있는 수단들의 이용 이라고 정의하였다.
정상화는 기존의 지배적인 서비스 이데올로기에 반대하고, 정상적이고 일상적인 생활의 리듬을 존중할 것을 강조한다. 즉 정상화란 아침에 일어나고 저녁에 잠자리에 드는 등의 행위를 포함하는 하루일과에서의 정상적인 리듬, 일주일에 낮 시간의 6일은 직장에 나가서 일하고 밤 시간과 주말은 휴식을 취하는 정상적인 리듬, 일년 중에 특정 시기에 휴가가 있고 휴식기간을 가지는 등의 일년동안의 정상적인 리듬 등이 서비스분야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되어야 함을 주장한다.



참고문헌
출처 및 참고자료 
 W. Wolfensberger. 1982. Normalization : The principle of normalization in human services. National Institute on Mental Retardation
박태영(2001) 외2인의 논문. 지역사회복지에서 정상화의 이론적


하고 싶은 말


키워드
복지론, 사회, 역사, 지역, 지역사회복지론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