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11월 28일 월요일

노인복지 가장 시급하고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노인복지정책

노인복지 가장 시급하고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노인복지정책
[노인복지] 가장 시급하고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노인복지정책.hwp


본문
1. 이유
 
1960년대 이래 우리나라는 경제수준 향상에 따른 식생활 개선, 보건의료기술의 발전, 건강에 대한 관심 증가 및 주거환경의 향상 등 생활여건의 개선에 힘입어 평균수명이 지속적으로 연장되어 왔다. 60년대에 평균수명이 52.4세였던 것이 2050년에는 83.3세에 이를 것으로 추정되어 인생 90세의 시대가 조만간 도래 할 전망이다.
우리나라는 총 인구에서 65세 노인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이 2000년 7월을 기점으로 7%를 넘어서 이미 고령화 사회로 진입했다. 선진국의 경우 노인인구의 기준인 고령화 사회에서 고령사회로 넘어가는 기간이, 프랑스는 115년, 미국은 71년, 영국은 47년, 일본은 24년 걸렸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불과 18년 밖에 걸리지 않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또한 고령사회에서 초고령 사회로 넘어가는 기간을 보면 프랑스가 41년, 영국이 45년, 미국이 15년, 일본이 12년으로 나타났지만, 우리나라는 불과 6년으로 압축될 것으로 추정되고 있어 고령화가 급속히 진전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급격한 노인인구의 증가는 노령화 지수 및 노인부양비를 중가시킴으로써 노인문제가 사회문제화 되는 주요원인이 되었다. 노인인구의 증가는 노인에 대한 부양 및 보호 부담을 사회적으로 증가시켰다. 노인수명의 연장은 긍정적 측면도 있지만, 연장된 노년기의 질적인 향상이 뒤따르지 못한다면 결코 바람직한 현상이라고만 볼 수는 없다. 특히 노년기가 장기화되면서 빈곤문제는 노년층의 생존 차원에서 주목해야 하는 중요한 문제이다. 노년기는 신체적 및 정신적 기능 저하를 겪게 되는 시기이기 때문에 건강상 어려움으로 인하여 의료적 지출이 많아진다. 정년퇴직으로 소득은 감소되고, 직업의 상실은 수입의 감소로 이어져 경제적 능력이 크게 저하되었고 공시적인 사회적 지위도 상실되면서 사회관계망이 축소되게 되었다. 또한 자녀들의 출가 및 배우자의 사망으로 인하여 의존성은 더욱 증가된다. 이러한 사회적 역할상실과 가족적 단절은 노인들에게 정서적으로 고독감이나 소외감을 안겨줌으로써 빈곤과 더불어 노후적응에 심각한 문제를 불러일으킨다. 또한 노인문제가 개인적 차원으로 대처하기 어려울 정도로 심각해지고 있는 반면, 정부나 지역사회로 부터의 복지대책은 거의 미비한 실정이다.


하고 싶은 말


키워드
노인, 복지, 노인복지, 노인복지정책, 정책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