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Ⅰ. 개인정보에 관한 법률 제정의 이유 Ⅱ.「개인정보보호법」 제정의 이유 1. 개인정보 제도의 일관성 결여 2.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의 증가 3. 개인정보 침해의 증가 Ⅲ.개인정보보호법의 특징 1. '개인정보'에 관한 규정 2. 처리단계별로 침해유형 규정 3. 개인정보에 관한 법제정비 4. 신규제도 도입 Ⅳ.「개인정보보호법」의 효과」 1. 정보보호법 적용대상 범위 확대 2. 체계적으로 개인정보보호정책을 규정 Ⅴ. 개인정보보호법의 한계와 대안 1.개인정보보호법의 한계 2.해외 정책과 사례에서 찾은 대안 3.개인정보보호 교육의 필요성 Ⅳ. 마치며 본문 Ⅰ. 개인정보에 관한 법률 제정의 이유 개인정보가 개인 식별 정보에서 정보화의 발전에 따라 맞춤형 서비스 제공, 소비자 선호도 조사 등의 목적으로 다분야에서 폭넓게 이용되기 시작하였다. 웹사이트에 회원 가입할 때 본인확인 등의 목적으로 개인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보편화되었고, 이렇게 수집된 개인정보는 마케팅은 물론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핵심 자원으로의 활용 가치도 점차 높아지게 되었다. 하지만, 기업은 개인정보를 다목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 가급적 많은 정보를 수집하고 제3자와 공유하기 시작하였으며 해킹 등으로 인해 정보주체가 자신의 개인정보가 어떻게 사용되는지, 어디로 흘러가는지조차 알기 어려운 경우가 다수 발생하게 되었다. 이렇게 흘러간 개인정보가 명의도용, 원치 않는 가입 구매권유등의 광고성 전화, 보이스 피싱 등 사기전화에 악용되는 등 2차적인 피해가 급증하고 있다. 이와 함께, 행정의 편의성 증대를 위한 국가의 전산화 확대 추진과 전국적 행정전산망 구축 등으로 개인정보의 부당 사용 또는 무단 유출로 인한 개인 사생활의 침해 등 각종 부작용이 우려됨에 따라 공공기관이 개인정보를 취급함에 있어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여 공공업무의 적정한 수행을 도모함과 함께 개인의 권리와 이익을 보호하기 위한 제도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참고문헌 참고문헌 디지털타임스, 신동규 – 2012.07.10 18면 보안뉴스, 김경애 – 2013.05.09 솔데스크 IT Academy - 개인정보 유출을 하는 원인과 사례, 그리고 해결방안 보험연구원, 변혜원 - 개인정보관련 리스크관리와 보험산업, 2012. 02. 10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네트워크 경계가 소멸되는 IT환경에서 조직의 정보보호 대책 전망, 2011. 04. 25 한국정보보호진흥원, 안전한 정보사회구현을 위한 EU의 정보보호전략과 연구개발, 2008. 09. V3, Enisa warns CERTs are failing on data sharing and proactive threat detection, 2011. 12. 08. 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보호연차보고서(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nnual Report), 2012. 하고 싶은 말 키워드 보안법률, 법률, 보안, 개인, 보호법 |
2016년 11월 30일 수요일
보안법률 - 개인정보보호법의 시행
보안법률 - 개인정보보호법의 시행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