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1. 들어가기 이 논문의 궁극적인 목표는 독일과 한국의 일간신문에서 게재된「부음(Todesanzeige)」의 텍스트 기능이 텍스트의 거시구조에서 어떻게 실현되고 있는가를 연구하여, 죽음을 바라보는 동․서양의 문화적인 시각, 곧 동질성과 이질성을 밝히는 일이다. 여기서는 '부음'을 텍스트 유형론에 기대어 간(間)문화적으로 대비⋅분석(Paralleltextanalyse)하겠는데, 다음의 문제들에 집중하기로 한다. ∘독일과 한국의 '부음'의 구성 요소들간의 공통점과 차이점 ∘'부음' 텍스트 안에서 이 구성요소들의 사용 장소 ∘'부음' 텍스트 안에서 이 구성요소들이 갖는 텍스트 결속 망 ∘독일과 한국의 '부음'의 텍스트 유형론적인 차이점과 유사점 ∘'부음' 텍스트는 문화 제약적인 텍스트 종류인가? 참고문헌 참고문헌 박여성(1994). 화행론적 텍스트유형학을 위하여. 텍스트언어학 2, 7-60. Brinker, K.(1992). Linguistische Textanalyse. Berlin. von der Lage-Müller, K.(1995). Text und Tod. Tübingen. Mader, H.(1990). es ist echt bitter. Todesanzeigen gesammelt und kommentiert. Hamburg. Müller-Calleja, R.(1987). Todesanzeigen. in: P. Brand/V. Schulze(Hg.). Medienkundliches Handbuch: Die Zeitung. Bd.3, Braunschweig, 207-220. Piitulainen, M.L.(1993). Die Textstruktur der finnishcen und deutschsprachigen Todesanzeigen. in: Schröder, H.(Hg.). Fachtextpragmatik. Tübingen, 141-186. Reiss, K.(1877/1878). Textsortenkonventionen. Vergleichende Untersuchung zur Todesanzeige. in: Le Langage et l Homme 35, 46-54 un 36, 60-68. Rolf, E.(1993). Die Funktion der Gebrauchstextsorten. Berlin. Sandig, B.(1883). Textsortenbeschreibung unter dem Gesichtspunkt einer linguistischen Pragmatik. in: Textsorten und literarische Gattungen. Hrsg. vom Vorstand der Vereinigung der deutschen Hochschulgermanisten, Berlin, 91-102. 하고 싶은 말 키워드 비교, 연구, 일간신문, 텍스트종류, 시론 |
2016년 11월 28일 월요일
텍스트종류 ‘부음’에 나타난 죽음의 문화 - 독일과 한국의 일간신문의 ‘부음’ 비교 연구 시론
텍스트종류 '부음'에 나타난 죽음의 문화 - 독일과 한국의 일간신문의 '부음' 비교 연구 시론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