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11월 29일 화요일

가족복지론 - 사회변화와 가족문제

가족복지론 - 사회변화와 가족문제
가족복지론 - 사회변화와 가족문제.hwp


본문
Ⅰ. 서론

가족은 인류가 만든 제도들 가운데 가장 오래된 것이며, 역사와 민족, 시대적 변천에 따라 다양한 양상으로 존재해 왔다. 현대의 가족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관점들이 공존하고 있지만, 기본적으로 두 가지 관점들로 구분할 수 있다. 먼저 가족은 자녀양육의 기능을 중심으로 특정한 공간과 특정한 애정의 유대로 연결된 특정한 사람들의 집합체로서 규정될 수 있다. 즉 가족이란 부부와 그들의 자녀로 구성되는 기본적인 사회집단으로서 이들은 이익관계를 초월한 애정적인 혈연집단이며, 같은 장소에서 기거하고 취사하는 동거동재 집단이다. 이 관점에서 가족문제는 불완전한 인간의 능력부족으로 설명되며, 가족정책의 목표는 보편적인 가족의 특징을 현실의 가족들이 회복하도록 하는 것에 초점을 맞춘다.
또 다른 시각은 가족을 생물학적 욕구에 대한 보편적 반응이라기보다는 특정한 사회질서 안에서 나타난 도덕적, 이념적 구성 단위로 파악하는 것이다. 가족은 혈연관계로 이루어진 자연적 집단이 아니라 집단 내부에서 인간관계를 조직하고 고려하는 방식으로 인식되며, 고유한 가풍을 갖는 문화집단이며 양육과 사회화를 통하여 인격 형성이 이루어지는 인간 발달의 근원적 집단임과 동시에 사회변동과 함께 의도적인 정책적 개입에 의해 변화하는 실체이다. 가족은 바로 그러한 변화에 대하여 역동적으로 적응할 수 있는 사회제도의 하나이기도 하다.



참고문헌
참고문헌

김영모, 현대사회문제론, 고헌출판부, 2001년.
고영복, 현대사회문제, 사회문화연구소, 1991년.
한국사회학회, 현대 한국 사회문제론, 한국복지정책연구소, 1991년.
이동선, 현대 한국 사회의 이해, 삼광출판사, 2005년.
조병인, 현대사회와 범죄, 법문사, 2000년.
옥양련, 오늘의 사회문제, 유풍출판사, 2001년.
김근홍, 한국의 사회문제, 양지출판사, 2002년.
임춘식, 사회문제, 유풍출판사, 1987년.
최일섭, 사회문제와 사회복지, 나남출판사, 2000년.
심영희, 여성의 사회참여와 성 폭력, 나남출판사, 1992년.




하고 싶은 말


키워드
가족, 가족문제, 가족복지론, 문제, 복지론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