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6월 26일 월요일

한국 문학사 콩쥐팥쥐 설화의 현대적 수용

한국 문학사 콩쥐팥쥐 설화의 현대적 수용
[한국 문학사] 콩쥐팥쥐 설화의 현대적 수용.pptx


목차
1.서론
2.본론
콩쥐팥쥐설화
1. 보편성
2. 특수성
3. 콩쥐팥쥐설화 기본형 소개
드라마 찬란한유산
4. 드라마 소개
-콩쥐팥쥐설화와 드라마 찬란한유산 비교
5.공통점
6.차이점
3.결론


본문
신데렐라 스토리?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여 전 세계적으로 걸쳐 분포, 전승
여러 언어권 내에서 비슷한 구조의 설화들이 구전됨

우리나라에서는 콩쥐팥쥐 설화로 존재


신데렐라스토리의 유형에 속하는 콩쥐팥쥐설화가 가지는 보편성과 우리나라 고유의 구비문학으로서 나타나는 특수성을 알아봄


조선시대부터 많은 사랑을 받으며 수많은 이본을 창출해낸
콩쥐팥쥐설화가 현대 문화에서는 어떻게 수용되고 있으며
스토리 전개 양상에서 차이가 있다면 그 이유는 무엇인지
논의하고자 함


참고문헌
엄수경, 『<콩쥐팥쥐>전래동화의 설화 수용양상 고찰』, 남도민속학회, 남도민속연구 제13집, 2006.
이원수, 『콩쥐팥쥐 설화 연구』, 문학과언어학회, 문학과언어 제19집, 1997.
오윤선, 『세계의 신데렐라유형 이야기군 속에서의 콩쥐팥쥐 이야기 고찰』, 건국대학교 동화와번역연구소, 2006.
남종현, 『콩쥐팥쥐전이야기. <콩쥐팥쥐전><신데렐라>의 상관관계』, 세명대학교 대학원, 2008.
오윤선,『세계의 신데렐라유형 이야기군 속에서의 <콩쥐팥쥐 이야기> 고찰』, 건국대학교 동화와번역연구소, 2006.
조희숙 석선화, 『콩쥐팥쥐와 신데렐라 비교연구』, 부산대학교 영유아보육연구소, 2003.



키워드
콩쥐팥쥐설화, 콩쥐팥쥐, 설화, 드라마, 한유산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