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6월 28일 수요일

공조설비설계 최상층공기조화기

공조설비설계 최상층공기조화기
공조설비설계 최상층공기조화기.xls


본문
1) 풍량(급기) 결정

1. 실내 공기의 상태점을 플롯(plot)한다. (26℃, DB 50%)

2. 상기 기점을 실내의 현열비(SHF= 0.89)에 따라 상태선을 긋는다.

3. 상대습도 90%와 상태선과의 교점을 코일 출구 공기 상태점으로 한다. (15.64℃, 90%)

4. 실내공기와의 온도차를 구한다. 이것을 취출온도차 (?t = 26 - 15.64 = 10.36℃)라 한다.

5. 취출온도차(?t)를 이용하여 풍량(Q)을 구한다.

키워드
공조설비설계 최상층공기조화기, 냉각코일, 혼합점, 냉각능력, 혼합공기, 공기의 상태점, 외기 상태점, 공조설비, 공조, 취출온도차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