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A. 개요(OUTLINE) B. 증상 및 징후(SYMPTOMS AND SIGNS) 1. 해부학적 분류에 따른 증상 차이 2. 남녀에 따른 증상 차이 C. 원인(CAUSE) 1. 요로감염의 원인균 2. 유발인자 D. 발병기전(PATHOGENESIS) 1. 요도염 2. 방광염 3. 신우신염 4. 전립선염 E. 진단적 검사(INVESTIGATIVE APPROACH) 1. 요도염 및 방광염 2. 신우신염 3. 전립선염 F. 치료(TREATMENT) 1. 치료원칙 2. 요로감염의 일반적 치료 3. 기타 상황에서의 치료 G. 예후(PROGNOSIS) 본문 A. 개요(OUTLINE) 1. 요로(尿路) ● 하부 요로 : 요도, 방광, 전립선 ● 상부 요로 : 요관, 신우, 신배, 신실질 2. 요로감염 ● 세균뇨 - 적절하게 받은 깨끗한 중간뇨에서 105CFUs/ml 이상의 균 검출 - 증상이 있는 환자의 경우 102-104CFUs/ml의 균 검출 ● 농뇨 - 백혈구 10/mg 이상 또는 원심분리하지 않는 소변에서 백혈구 3/HPF 이상 검출 - 증상이 있는 환자에서 요로감염의 매우 예민한 지표 - 급성 세균성 요로감염이 있는 환자에서 거의 대부분 존재 ● 백혈구 원주 - 급성일 경우 소변에서 백혈구 원주 이상 급증 이하중략 F. 치료(TREATMENT) 1. 치료원칙 ● 치료 전에 소변정량배양, 그람염색양성, 또는 기타 빠른 진단적 방법으로 감염 확진, 배 양이 얻어지면, 항생제감수성 검사를 시행 ● 감염을 잘 일으키는 위험 인자를 확인하여 치료 ● 임상증상의 소실은 항상 세균학적 완치를 의미하는 것이 아님 ● 시행한 치료 결과를 치료 실패 또는 완치로 분류할 것 ● 일반적으로 하부 요로감염은 단기간 치료, 상부 요로감염은 장기간 치료 필요 ● 일반사회에서 생긴 감염, 특히 초감염의 경우에는 항생제에 예민한 균주에 의함 ● 반복적인 요로감염이 발생하는 환자에서는 항생제 내성 균주를 가지고 있는지 의심 참고문헌 ● 홍창의. 「소아과학」. 도서출판 고려의학(2003). ● 강지현 외.「임상간호의 핵심 Ⅱ」. 도서출판 한우리(2003년) ● Sigma Theta Tau Lambda. 「최신 임상간호메뉴얼 Ⅱ」. 현문사(2004) 하고 싶은 말 요로감염 (urinary tract infection, UTI)의 증상부터 예후까지 믿고 쓰셔도 무방하며 참고자료로 활용하시기에도 참 좋은 자료입니다. 키워드 요로감염, urinary tract infect, UTI, 요도염, 방광염, 신우신염, 전립선염 |
2017년 3월 30일 목요일
요로감염 (urinary tract infection, UTI)
요로감염 (urinary tract infection, UTI)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