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파아제와 비고스키 이론의 비교 1. 피아제의 인지발달론 1) 감각운동기 2) 전 조작기 3) 구체적 조작기 4) 형식적 조작기 1-2. 교육적 시사점 2. 비고츠키의 사회문화이론 1) 발달의 단계 2-2 교육의 시사점 본문 피아제와 비고스키 이론의 비교 1. piaget의 인지발달론 아동이 기존의 도식이나 구조의 부적함을 느끼고 인지갈등을 극복하기 위한 평형화과정을 거치게 되면 결과적으로 항상 이전의 도식이나 구조보다 정교화 된 상위의 도식이나 인지구조가 형성된다. piaget의 인지발달이론의 특징은 우선 인지발달이 각 단계별로 특징적인 연속성을 나타낸다는 것이다. 또한 이 과정은 일반화와 분화로 이루어진다는 진화론적 관점을 다분히 반영 하고 있다. 발달의 연속성은 계획적인 팽창에 의하여 성취되고, 발달은 단계적인데 이 단계는 기간이 단축될 수는 있을지라도 어느 개인에게 있어서도 건너뛰거나 역행될 수는 없다는 것이다. 그가 주장하는 인지발달의 단계는 세분화 될 수 있으나 대체로 네 단계로 구분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1) 감각 운동기 : 이 시기는 출생으로부터 2세정도까지이다. 이 시기는 생득적인 반사행동, 즉 빨기, 응시하기, 미소 짓기 등이 주로 나타나며 초보적 수준의 감각 및 지각적 도식에 의한 활동에 의존한다. 그러나 후반기에는 여러 도식의 협응(예:눈과 손의 협응)이 이루어지고 대상 영속성을 획득하며 초보적 수준의 기본적인 개념을 형성한다. 감각운동기의 발달과정을 하위 6단계를 시기, 발달특성별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반사적 행동기> * 출생~1개월에 잡기, 빨기 등의 반사적 행동이 주로 나타난다. <1차 순환 반응기> * 1~4개월에 우연히 새로운 경험을 하게 되고 이를 반복하려고 애쓰며 서로 다른 동작과 도식을 통합한다. <2차 순환 반응기> * 4~8개월에 외부에서 흥미로운 사건을 발견하고 이를 반복하려 는 의도적 행동을 한다. <2차 도식의 협응> * 8~12개월에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 어떤 행동을 시도한다. 즉, 둘로 분리된 도식을 협응한다. <3차 순환 반응기> * 12~18개월에다른 결과를 관찰하기 위해 새로운 행동들을 시도해 본다. <사고의 시작> * 18~24개월에 지연모방, 내적표상 등이 사고가 나타난다. 2) 전 조작기 : 2~7세의 유아기이다. 이 시기에는 영상이나 상징, 즉 놀이나 언어 혹은 그림 등을 통해서 대상을 표상하는 능력이 생기기 시작한다. 그러나 인지능력에 있어서 가역적인 사고사 불가능하고 직관적인 표상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자기중심적이며 물활론적인 사고의 특징을 보인다. 3) 구체적 조작기 : 7~11세의 학령기에 해당하는 시기이다. 어떤 판단을 내리게 된 광정을 역으로 추적해보는 가역적 사고사 가능해진다. 따라서 보존개념이 형성되고 유목화를 포함한 분류, 서열화 등의 논리 수학적 조작능력을 나타낸다. 그러나 아직은 구체적인 자료가 있어야 가능하며 추상적인 추론을 통한 사고과정은 다음 단계에 이르러 가능하다. 4) 형식적 조작기 : 11세 이후의 시기로 구체적인 사물이나 상황을 벗어난 추상적 상황에 대해 서로 논리적으로 사고할 수 있게 된다. 이 시기에는 새로운 가능성을 생각할 뿐만 아니라 다른 여러 변인들을 고려할 수 있는 사고능력을 가지게 된다. 하고 싶은 말 현재 사이버대학에서 공부하고 있는 학생입니다. 중간고사로 정리했던 보고서입니다. 많은 분들이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키워드 피아제, 비고스키 |
2017년 3월 29일 수요일
아동발달-피아제와 비고스키 이론을 비교하여 작성하시오
아동발달-피아제와 비고스키 이론을 비교하여 작성하시오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