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3월 31일 금요일

A+ 문제 정의(저출산, 고령화) 문제 정의서 시스템 분석 및 설계

A+ 문제 정의(저출산, 고령화) 문제 정의서 시스템 분석 및 설계
A+ 문제 정의서(저출산) 시스템 분석 및 설계.pptx


목차
목차
문제 선정 배경
문제 원인
문제 심각성
문제 정의서 : 문제명칭, 발생국가 ,발생기간, 발생년도, 이해관계자,
문제심각성, 문제로 판단한 근거, 문제의 잠재적 원인
문제해결목표, 문제유형

본문
문제명칭 : 출생아수 감소와 낮은 합계출산율 (저출산)
생산가능인구 하락은 노동공급 감소를 의미
경제성장률과 1인당 소득증가율이 함께 떨어져 전체 경제가 잘 성장하지 못하게 될 것
1인당 소비규모가 적은 고령층의 비중이 늘어나면 중장년층의 부양부담이 커지고 소비가 위축돼 저축률과 투자수요가 감소할 것

문제선정 배경
대한민국 인구, 2012년 6월 23일 5천만명 넘어
○ "장래인구추계:2010-2060" 결과에 따르면 한국의 인구는 2012년 6월 23일 5천만명 넘어
같은 날 세계 인구는 70억5천만명, 한국인구가 세계 인구의 0.71%를 차지
○ 5천만 시대 앞으로 33년간 지속될 전망
한국의 인구는 2030년 5,216만명을 정점으로 감소, 2045년 부터 5천만명 이하로 줄어

향후 30년간 생산가능인구는 일본, 독일, 한국 순으로 가장 많이 감소
○ 한국의 생산가능인구(15-64세)는 2010년을 100으로 볼 때, 2040년까지 80.2 수준으로 감소, 향후 30년간 약 700만명 이상의 생산가능인구가 줄어
- 2040년까지 생산가능인구가 가장 많이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는 나라는 일본(75.5), 독일(78.4), 한국(80.2)순
○ 향후 30년간 전 세계적으로 고령인구는 2~3배 정도 증가할 전망

출산율 높이면(2060년 1.79명), 5천만명 이하 감소 시점 13년, 고령화 속도 14년 늦춰
○ 고령화 속도(고령자 비율), 2030년까지는 기대수명 향상 속도가, 그 이후부터는 출산이 좌우
○ 출산율, 인구추계 기준 전망치(중위가정)인 2060년 1.42명에서 1.79명으로 높아지면
- 인구 5천만명 이하 감소 시점, 13년 정도 늦춰지고(2045년→2058년)
- 2060년 65세 이상 구성비를 40.1%에서 4.3%p (2046년 수준) 감소시켜, 고령화 속도를 14년 정도 늦출 수 있을 것으로 예상









하고 싶은 말
MBA과정에서 다룬 내용으로 A+평가를 받은 문제 정의서입니다.
양육비 부담으로 인한 저출산, 그리고 그로 인한 생산가능인구의 저하는 경제규모축소로 이어질 것입니다.
문제 정의는 맨마지막 부분에 정리되어 있습니다.

키워드
저출산 문제, 고령화, 노동인구, 문제 정의, 저출산, 문제 정의서, 시스템 분석 및 설계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