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신부전(renal failure) 1.정의 2.분류 (1) 급성 신부전증 (2) 만성 신부전증 Ⅱ. 급성신부전(Acute Renal Failure) 1.정의 및 개요 2. 치료 (1) 보존적치료 (2) 투석적응증 (3) 회복기치료 Ⅲ. 만성신부전(chronic renal failure) 1.정의 2.원인 3.치료 A. <보존적 치료> (1) 식이요법 (2) 고혈압 B. <신장대체치료> (1) 혈액투석 (2) 복막투석 (3) 신장이식 본문 신부전(renal failure) 1.정의 신장 기능 중 사구체여과율(GFR)로 대표되는, 배설기능의 저하를 특징으로 하는 병태이다. 신장기능에는 오줌의 농축력이나 당, 아미노산의 재흡수 기능, 내분비 기능 등이 있다. 하지만 기본적으로 GFR의 저하를 중심으로 신장의 배설 기능장애가 포함되어야만 신부전이라 정의한다. 급성신부전(Acute Renal Failure) 2. 치료 1. 보존적 치료 매일 체중을 재고 수분 섭취량과 배설량을 정확하게 기록하며 최소한 일주에 세 번 이상 혈청 전해질, BUN, 크레아티닌, 칼슘 및 인산치를 측정한다. 1) 수분조절 임상적으로 정확하게 혈관내 용적을 판단하는 것이 요구된다. 체액량 고갈은 반드시 교정되어야 한다. 2) 식이 요법 단백질 섭취는 질소 노폐물의 생성을 줄이기 위하여 0.5g/kg/day 정도로 제한한다. 총 열량 섭취는 이화작용을 피하기 위하여 35~50 kcal/kg/day는 되어야 한다. 3) 혈압 저혈압과 고혈압 모두 신속히 치료하는 것이 좋다. <중 략> 만성 신부전(chronic renal failure) 3. 치료 <보존적 치료> 1. 식이 요법 ① 질소 노폐물의 축적을 줄이기 위해 단백질 섭취를 줄인다. 단백 이화작용을 방지하기 위해서 충분한 열량(35~50 kcal/kg/day)이 제공되어야 하며 영양실조가 생기지 않는지 계속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② 칼륨 섭취는 사구체여과율이 20 ml/min 미만으로 감소하면 40 mEq/day로 제한한다. ③ 인산염의 섭취는 사구체여과율이 50 ml/min 미만으로 떨어지면 800~1000 mg/day로 제한한다. ④ 나트륨 : 소금을 따로 첨가하지 않은 식사(8g NaCl/day) 정도의 가벼운 제한이 맛도 나쁘지 않고 적절한다. 2. 고혈압 만성 신부전 환자에서 신기능 저하속도를 가속시키므로 반드시 관리해야 한다. 참고문헌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내과 지침서. 고려의학. 1999년. p.224-8, 251-7 Shintatni Futosi 저. 최규헌 역. Pathophysilolgy로 이해하는 내과학. 정담. 2002년. p.61-70 하고 싶은 말 내과 신부전증(급성신부전증, 만성신부전증) 집담회 키워드 신부전증, 급성신부전증, 복막투석, 만성신부전증, 혈액투석 |
2017년 3월 30일 목요일
내과 신부전증(급성신부전증, 만성신부전증) 집담회
내과 신부전증(급성신부전증, 만성신부전증) 집담회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