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경제민주화의 의의 2. 대기업의 비윤리적 경영 행태 (1) 중소기업 적합업종 침해 (2) 대기업 계열사간 불공정 내부거래를 통한 부의 증식: 일감몰아주기 (3) 불공정 하도급계약 3. 대기업 지배구조 문제와 개선방안 (1) 순환출자에 의한 편법적 지배권의 승계 (2) 소유와 경영의 미분리 (3) 지배구조 개선방안 4.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동반성장 추진 (1) 상생경영 방안 (2) 성과공유제 시행 (3) 동반성장 프로그램 5. 결론 본문 우리나라 헌법 119조 1항은 대한민국 경제 질서는 개인과 기업의 경제상 자유와 창의를 존중함을 기본으로 한다 고 적시한다. 반면 2항은 국가는 균형 있는 국민경제 성장과 적정한 소득 분배, 시장 지배와 경제력 남용 방지, 경제주체 간의 조화를 통한 경제 민주화를 위해 경제에 관한 규제와 조정을 할 수 있다 고 명시돼 있다. 1항은 자유시장경제 원칙을, 2항은 그로 인한 부(富)의 편중 같은 부작용을 막기 위해 국가가 개입할 여지를 둔 조항이다. 현재 정치권에선 119조 2항을 근거로 대기업에 쏠린 부의 편중 현상을 법으로 완화시켜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를 통칭해서 경제민주화 라고 부른다. 참고문헌 장세진(2003), 글로벌경영전략, 박영사. . 진철환(2002), 경제민주화와 위기의 대응철학, 지식산업사. . 한국경제연구원, 경제민주화, 어떻게 할 것인가: 쟁점별 고찰; 경제민주화, 어떻게 볼 것인가: 2012 대한민국에의 시사점. . 한국학술정보 편집부(2004), 경제민주화의 길, 한국학술정보. 하고 싶은 말 최근 정치권에서 논의되고 있는 경제민주화의 주요 이슈와 발전적 추진 방향에 대해 논의 키워드 경제민주화, 양극화, 대기업 재벌, 중소기업 적합업종, 불공정 하도급계약, 소유와 경영, 순환출자, 편법적 지배권의 승계, 일감몰아주기, 기업지배구조, 상생경영, 동반성장 |
2017년 6월 1일 목요일
경제민주화의 주요 이슈와 추진방향
경제민주화의 주요 이슈와 추진방향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