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증상 2. 원인 1) 생물학적 관점 2) 인지적 관점 3) 행동주의적 관점 4) 체계적 관점 3. 치료 1) 생물학적 치료 2) 인지행동치료 ① 탁구 ② 태권도 ③ 미술치료 ④ 가족치료 ⑤ 다중 체계치료 4. 참고문헌 본문 1. 증상 품행장애란 아동이 타인의 권리나 입장을 침해하거나 나이에 기대되는 기준이나 규범을 깨는 행동을 반복적, 혹은 지속적으로 보이는 장애이다. 품행장애의 주요증상으로는 괴롭힘, 싸움, 폭력과 같은 공격적 행동과 방화, 비행과 같은 규칙위반 행동이 있다. 대부분의 품행장애의 아동은 반항성 장애의 진단기준을 충족시키기 때문에 두 장애의 특징을 잘 구분해야 한다. 품행장애는 가족력이 있고 파괴적이고, 복종하지 않고, 사회적 규범을 어기려고 하는 점에서 반항성 장애와 공통점이 있다. 하지만 반항성 장애의 발병연령이 품행장애보다 빠르고 반항성 장애의 아동은 대부분 품행장애로 진행되지 않지만 품행장애아동의 대부분은 어렸을 때 반항성 장애로 진단이 내려진 아동이다. 그리고 증상의 심각성이 낮고 아동의 연령이 낮기 때문에 반항성 장애에 대한 치료가 품행장애보다 효과적이다. 품행장애는 법, 규범을 어기려고 하는 특징이 있고 반항성 장애는 공격적, 분노를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반항성 장애는 진단기준의 유사성과 품행에 대한 수준 차이로 인해 품행장애의 전조로 많이 언급하고 있다. 참고문헌 권석만(2003). 「현대이상심리학」. 학지사. 송정아 최규련(2004). 「가족치료 이론과 기법」. 도서출판 하우. 정수경(2011), 심리운동과 감각통합치료가 ADHD 성향아동의 감각운동성과 주의력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Rita W. N & Allen C. I. (2011). 「아동 청소년 이상 심리학」. 정명숙 외 2명. 시그마프레스. Mash, E. A. & Barkley, R. A. (2001). 「아동정신병리」. 이현진 외 4명. 시그마프레스. 얍~ 자폐아들 오너라 태권도로 고쳐주마!, 키워드 아동심리, 치료방안, 품행장애, 아동, 장애 |
2017년 6월 26일 월요일
아동심리 아동 품행장애 원인과 치료방안
아동심리 아동 품행장애 원인과 치료방안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