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7월 29일 금요일

경영통제 경영통제의 개념(의의)과 역할, 과정, 분야, 경영통제시스템

경영통제 경영통제의 개념(의의)과 역할, 과정, 분야, 경영통제시스템
[경영통제] 경영통제의 개념(의의)과 역할, 과정, 분야, 경영통제시스템.hwp


목차

Ⅰ. 경영통제의 의의와 중요성

Ⅱ. 경영통제의 역할

Ⅲ. 경영통제의 과정

1. 경영통제영역의 결정
2. 경영통제의 기준설정
3. 경영통제의 성과측정
4. 경영통제의 기준에 대한 성과의 비교
5. 경영성과의 인정
6. 경영활동의 수정조치
7. 경영활동의 측정과 기준의 조정

Ⅳ. 경영통제시스템

Ⅴ. 경영통제의 분야

1. 재무분야
1) 재무제표분석
2) 재무비율분석
3) 재무감사
2. 생산분야
1) 품질관리기법
가) 통계적 품질관리
나) 전사적 품질관리
2) 재고관리기법
가) 고정주문량 기법
나) 주문점 발주기법
다) ABC발주형 기법



본문
경영통제

I. 경영통제의 의의와 중요성

기업이 경영활동을 하기 위하여 경영계획을 수립하고 설정된 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기업의 조직을 편성하였다 할지라도 모든 경영활동이 계획대로 진행되고 경영자가 달성하고자 하는 경영목표가 반드시 달성되리라는 보장은 없다.
따라서 경영활동이 계획된 대로 진행될 수 있도록 성과를 측정하고 수정하는 과정이 필요한데 이 관리기능을 통제(controlling)라고 한다.
즉 기업의 목표와 이를 달성하기 위해 설정된 계획이 달성되었는가를 확인하기 위해 성과를 측정하고 수정하는 관리기능을 의미한다. 이러한 통제기능은 계획수립 기능과 밀접 한 관계 가 있다.
이것은 목표와 계획이 있어야만 통제를 할 수 있으며 그 기준에 의하여 비교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여기서 계획수립기능은 조직을 통한 집행활동 전에 수행되는 사전적인 관리기능인데 통제는 사후적인 관리기능인 점에서 다르다고 하겠다.
그러나 통제에 의해 확보된 자료들은 차기의 계획수립에 피드백 되어 활용되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됨은 물론 다른 관리기능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게 됨으로써 관리의 순환적 입장에 있게 된다.
따라서 통제기능이 효과적으로 발휘되면 경영의 다른 기능이 잘 수행되며 아울러 다른 관리기능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면 통제기능도 쉬워진다.



키워드
경영, 경영통제, 통제, 과정, 분야, 시스템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