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장거리 가족이란? 2. 장거리 가족이 되는 이유 3. 장거리 가족의 특성 4. 인터뷰 사례 5. 장거리 가족의 장단점 6. 극복전략 7. 장거리 가족을 위한 제도 8. 토론주제 본문 4. 인터뷰- 사례1 : 자녀의 유학 1) 장거리 가족이 된 이유 - 아이들의 교육 때문 2) 의도한 대로 이루어졌나? (만족도) - 아직까지는 본인들이 목표한 것들을 잘 이루어가고 있기 때문에 의도한 대로 이루지고 있다고 생각한다. 3) 힘든 점 - 경제적인 어려움, 잘 지내는지 일상생활에 대한 염려, 눈으로 확인이 불가하니 늘 걱정 4) 극복전략 - 경제적인 어려움은 교육이 끝날 때까지 잘 견뎌보자는 생각으로 이겨내려 함. 걱정은 요즘 통신망이 잘 되어 있어서 카카오 톡, 인터넷 전화 등으로 자주 연락을 함으로 덜어냄 5) 본인의 가족과 같이 자녀의 유학을 준비하는 가족이 있다면 해주고 싶은 조언은? - 막무가내로 내보내는 것보다는 본인들이 목표를 가지고 할 준비나 계획이 있어야 한다고 생각 - 경제적인 부분을 현실적으로 생각해라. 계획보다 드는 돈이 많으니 현실적으로 생각해야 한다. - 자녀가 스스로 자신의 생활을 컨트롤 할 수 있는 훈련이 되어있어야 한다고 생각. 혼자서 생활해야 하기 때문에 절제를 못하면 목표를 이루기 힘들 수 있다. - 너무 어릴 때 내보내는 것은 추천하지 않는다. 부모와 함께 살면서 정서적 교감을 충분히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참고문헌 탈근대의 가족들 -다양성, 아픔, 그리고 희망-, 이여봉, 양서원, 2007 변화하는 사회 다양한 가족. 이동원 외. 양서원. 2001.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1092191881 http://www.wowtv.co.kr/newscenter/news/view.asp?bcode=T30001000&artid=A201207030147&arttype=V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110923000284&md=20120317064844_AK 키워드 가족, 장거리, 관계, 가족관계, 장거리가족, 부부 |
2016년 10월 1일 토요일
장거리 가족의 특성과 장단점
장거리 가족의 특성과 장단점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