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10월 30일 일요일

생물 현미경의 사용법과 식물 및 동물세포의 관찰

생물 현미경의 사용법과 식물 및 동물세포의 관찰
생물 [현미경의 사용법과 식물 및 동물세포의 관찰].hwp


본문
1. Result
1. 식물 세포의 관찰
식물 세포는 발견하기도 쉬웠을 뿐더러, 단단한 세포벽을 지녔기 때문에 그 형태도 상당히 양호하고 뚜렷하게 관찰되었다. 식물 세포는 aceto orcein 용액으로 염색한 후 관찰하니, 핵도 매우 뚜렷하게 볼 수 있었다. 처음에는 cover glass를 덮는 것이 다소 미숙하여 세포와 더불어 많은 기포가 관찰되었으나, 다시 시도할 때에는 물방울을 떨어뜨린후 cover glass를 덮고 거름종이로 주위를 닦아내니까 주변에서 관찰되는 기포의 수가 상당히 감소하여 보다 선명한 관찰을 할 수 있었다.

2. 동물 세포의 관찰
본 실험에서 구강 세포 발견 및 관찰이 참으로 어려웠다. 양파 세포와 같이 뚜렷한 형체를 지닌 것도 아니었고, 입 속에서 이쑤시개로 긁어내고 또 이를 slide glass에 문지르는 과정에서 세포의 상당량이 흩어져서 몇 개 관찰되지도 않았다. 아마도 동물 세포가 식물 세포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보기 어려운 이유는 세포벽의 유무에 기인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구강 세포를 몇 개 발견하기도 힘들었을 뿐더러, 배율을 바꾸거나 염색을 한 후에는 세포를 찾는 것이 더욱 어려웠다. 이것은 조작 미숙 때문일 것이라고 추측한다. 보다 나은 실험을 위해서는 침 등의 기구를 사용해서 동물 세포 조직을 보다 많이, 보다 안정하게 체취하는 방법을 택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참고문헌
(1) Kimball Biology, Fifth Edition, John W. Kimball, 探求堂, 1995. 1. 10
(2) 기본 세포학, 옮긴이: 강영선, 한국번역도서 주식회사
(3) 세포생물학, 강영선, 하두봉, 소원주, 이웅식 공저, 문운당, 1975. 3. 1
(4) 生物學 實驗, 한국생물과학협회, 아카데미 서적
(5) 遺傳學, 강영신 외, 1998


하고 싶은 말
열심히 작성하고 좋은 평을 받은 자료 입니다. 감사합니다.

키워드
세포, 관찰, 식물, 현미경, 동물, 실험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