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Ⅰ. 서론 감각은 크게 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하나는 외부자극 수용감각이고 또 하나는 내부자극 수용감각이다. 외부자극 수용감각은 몸 밖에서 오는 자극을 수용하여 반응하는 감각으로 전통적으로 시각, 청각, 촉압각, 후각, 미각 등 다섯 가지 감각이 있고, 내부자극 수용감각은 몸 안에서 오는 자극을 수용하여 반응하는 감각으로 근육의 신장, 관절각, 소화관의 확장, 통증, 체온과 같은 감각이 이에 포함된다(김창완 등 2002). 우리의 시각경험은 망막에 분포해 있는 광수용기에 의존하고 있다. 이들은 외부세계로부터 오는 시각정보들을 받아들여 일차 시각정보처리를 한다. 각 개인의 시각경험은 이 정보를 기반으로 이루어진다. 광수용기들은 신경절 세포들의 축삭이 망막을 빠져나가는 통로 부위에는 존재한지 않는데, 이 부위를 맹점이라고 한다. 맹점에는 광수용기가 없기 때문에 이에 대응하는 시각 장 영역은 외부로부터 어떠한 정보도 입력 받지 못한다. 한쪽 눈을 감은 채 손가락 두 개를 움직여보면 간단히 각 눈의 맹점 위치를 확인해 볼 수 있는데, 맹점에 해당하는 부위에서는 손가락이 외부에 존재하지만 그 끝이 지각되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의 시야에는 빈공간이 존재하지 않는다. 그 이유는 시각체계의 채우기 기제 때문이다(신인자 등 2007). 한편, 눈에서 입력된 정보를 뇌로 운반하는 대량의 시각경로는 백만개 이상의 신경섬유를 포함하고 있다. 참고문헌 인터넷 검색(http://ko.wikipedia.org/wiki/%EA%B3%A4%EC%B6%A9) 위키백과 (접속일자 : 2008년 10월 27일) 인터넷 검색(http://100.naver.com/100.nhn?docid=115937) 네이버 백과사전 (접속일자 : 2008년 10월 27일) 「생명과학」 7판. 전상학 등(2007). 라이프사이언스 「대학 생물학 실험」김경훈 등(2007). 강원대학교 출판부 「생물학실험서」민철기 등(2006). 라이프사이언스 신인자 등 (2007). "안구 간 맹점 채움 현상"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 실험, 19(3), 221-231. 김지현 등 (2007). "주변 자극의 대비 강도와 중심와로부터의 거리가 맹점 채우기에 미치 는 영향"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 실험, 19(4), 329-342. 「인체의 생물과학」김창완 등(2002). 형설출판사 하고 싶은 말 열심히 작성하고 좋은 평을 받은 자료 입니다. 감사합니다. 키워드 공간, 맹점, 역치, 위치, 자극, 생물 |
2016년 10월 30일 일요일
생물-맹점 크기 및 위치, 자극의 전달 속도, 압점의 공간 역치 구하기
생물-맹점 크기 및 위치, 자극의 전달 속도, 압점의 공간 역치 구하기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