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학습동기 I. 서론 II. 내적동기와 외적동기 III. 학습동기유발 방법 1. 수업 전의 동기유발방법 2. 수업활동 중의 동기유발방법 3. 수업 후의 동기유발방법 본문 학습동기 I. 서론 사람은 여러 가지 행동을 한다. 도서관에 가서 열심히 공부하기도 하고, 혼자 무전여행을 하기도 한다. 사람들이 그러한 행동을 하게쯤 만드는 것은 무엇인가? 인간이 어떤 행동을 행하는 데에는 그 행동을 하려는 의도(intent)와 그 행동을 할 수 있는 능력(ability)및 행동이 가져올 수 있는 결과에 대한 인지(cognition)가 필요하다. 이 중 행동의 의도를 설명하기 위해서 심리학자들은 동기(motivation)의 개념을 많이 사용한다. 동기란 인간이나 동물로 하여금 어떤 목적을 향하여 특정한 행동을 취하도록 유도하는 상태라고 정의할 수가 있다. 다시 말하면, 동기는 행동을 자극하고, 지시하고, 유지시키는 내적 상태를 말한다(Stemberg & Williams, 2003). 이러한 동기는 다음과 같은 특성을 지니고 있다. 첫째, 유기체로 하여금 행동을 촉발하도록 한다. 둘째, 행동이 어떤 목표를 향하도록 방향을 지시해 준다. 셋째, 행동의 강도를 결정해 준다. 넷째, 행동을 계속 유지하도록 해준다. 동기는 이처럼 인간의 행동을 이해하고 예측하고 통제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렇다면 동기를 학습행동에 적용해 볼 때, 학습자들의 학습하고자 하는 의지가 곧 학습동기라 할 수 있다. 교사나 부모들이 아이들의 학습행동과 관련해서 지니게 되는 의문점의 대부분은 동기와 관련된 것이다. 머리는 좋은데 공부를 하기 싫어한다 거나 노는데는 그리 열심인데 공부하라면 5분을 못 버틴다. 거나 공부와 관련된 건 금방 잊어버려도, 가수 이름이나 노래 제목은 기가 막히게 기억해 낸다. 거나 다론 과목은 그런대로 잘 하는데 영어는 왜 그렇게 공부를 안 하는지 모르겠다 거나 이 모든 질문의 해답은 학습자의 동기를 이해함으로써 지도방법을 생각해 낼 수 있는 것들이다. 하고 싶은 말 자료들을 뒤적거리며 알짜배기로 간추려 작성한 레포트입니다. 키워드 동기, 학습동기, 외적동기, 유발방법, 방법, 유발 |
2016년 4월 29일 금요일
학습동기 내적동기와 외적동기, 학습동기 유발방법
학습동기 내적동기와 외적동기, 학습동기 유발방법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