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4월 28일 목요일

집단규범과 동조현상 집단규범의 개념(정의)과 기능, 집단규범이 구성원의 행동에 미치는 영향, 집단규범의 활용, 교사를 위한 시사점

집단규범과 동조현상 집단규범의 개념(정의)과 기능, 집단규범이 구성원의 행동에 미치는 영향, 집단규범의 활용, 교사를 위한 시사점
[집단규범과 동조현상] 집단규범의 개념(정의)과 기능, 집단규범이 구성원의 행동에 미치는 영향, 집단규범의 활용, 교사를 위한 시사점.hwp


목차
집단규범과 동조현상

I. 집단규범

II. 집단규범의 기능

III. 집단규범이 구성원의 행동에 미치는 영향

IV. 행동변화를 위한 집단규범의 활용

V. 교사를 위한 시사점


본문
집단규범과 동조현상

1) 집단규범

학급 안에는 교사들이 학생들에게 어떤 동기를 부여해 주기 위해 생산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강력한 집단의 힘이 있다. 집단규범이 그 집단 내에서의 적절한 행동을 자세히 열거해 줄 때, 그 규범들은 다른 어떤 요소들보다도 효과적이다.
그것은 학급에서 교육목적을 성취하기 위해서나 교사와 학생들이 협동하도록 하기 위해서 학생들의 동기를 유발시킬 것이다. 규범은 사회체제 구성원들에게들의 행동양식을 명확하게 해 주는 평가유형에 대한 공동신념이라 할 수 있다.
결국 규범은 사회체제에 의해서 기대되는 행동이므로 특정한 당위성 이나 필연성 을 가지고 있다. 즉, 학생들은 복도에서 뛰면 안 된다, 수업에 지각하면 안 된다, 결석하면 안 된다와 같은 것이다.
규범은 사회체제의 구성원들이 그것을 이행해야 하는지에 대한 동의나 일치가 있을 때, 그리고 그러한 동의들을 지키도록 하기 위한 사회적 과정이 있을 때에 존재한다. 존재하는 규범은 외부의 관찰자로 하여금 그것을 준수하도록 요구된다. 즉, 행동에는 규칙이 있는데 그러한 규칙을 위반하는 경우에 집단은 규범에 호소하거나 규범의 강화인(reinforcer)으로서의 힘을 발휘함으로써 그것을 준수하도록 시도할 것이다. 그리고 규범을 어긴 사람은 규범을 준수하기 위하여 의무감을 느낄 것이고, 또한 탈선에 대한 죄의식이나 갈등을 나타내기도 할 것이다.
개인의 행동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규범이 되기 위해서는 개인은 자신의 행동에 대해 규칙이 존재한다는 것을 인식해야만 한다. 조직이나 집단의 다른 구성원들도 규칙을 따르고 받아들인다는 것을 인식하여 그 스스로 규칙을 따르고 받아들여야 한다. 학생들이 규칙을 받아들이고, 그의 동료들도 그것을 받아들이는 것으로 인식하여, 학습에서 학생들 스스로가 그 규칙을 강화하는 정도에 한해서만 규범이 되는 것이다.



하고 싶은 말
자료들을 뒤적거리며 알짜배기로 간추려 작성한 레포트입니다.

키워드
집단규범, 규범, 집단, 시사점, 동조현상, 동조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