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4월 29일 금요일

우리나라 대안교육 발달과정 한국 대안교육의 발전과정

우리나라 대안교육 발달과정 한국 대안교육의 발전과정
[우리나라 대안교육 발달과정] 한국 대안교육의 발전과정.hwp


목차
한국 대안교육의 발전과정

I. 대안적 교육실험과 새로운 학교를 만드는 모임

II. 공동육아 어린이집

III. 중/고등 통합과정과 비인가 중/고등학교 개교

IV. 특성화학교의 등장

V. 대안교육 전문지 창간

VI. 서울시 대안교육센터와 도시형 대안학교들

VII. 대안초등학교의 등장

VIII. 대안학교법 통과



본문
한국 대안교육의 발전과정

1) 대안적 교육실험과 새로운 학교를 만드는 모임

90년대 초 많은 학생들이 자살하는 사건들은 기존학교에 대한 강한 불신과 함께 새로운 학교에 대한 강한 요구라 상상력을 불러일으켰다. 이미 1986년부터 1993년까지 20회 정도 또 하나의 문화 에서 열었던 초등학생들을 위한 캠프는 아이들의 자치성을 강조하였고 90년대 새로운 학교운동 의 영감의 원천의 하나가 되었다. 1995년 초 2월 대전에서 새로운 교육실험을 하고 있거나 준비 중인 17단체에서 47명이 참가한 이 날 모임에서 새로운 학교를 만드는 모임 이라는 명칭을 정하였고 새로운 학교를 만들기 위해 함께 노력하기로 하였다. 이 모임의 중요성은 한국 최초의 대안교육실천가들의 전체모임이었다는 점, 개별단체들이 힘을 얻었고 서로 배움의 기회를 가질 수 있었다는 점, 그리고 대안교육과 대안학교가 언론과 일반인에게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는 점이다.


하고 싶은 말
자료들을 뒤적거리며 알짜배기로 간추려 작성한 레포트입니다.

키워드
대안교육, 교육, 과정, 한국, 발달과정, 발전과정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