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영화자막의 형태 1. 스크린에 영화 화면이 보여지고 그 오른쪽에 한글자막이 상영 2. 우선 자막상영을 앞쪽에다 하지 않고, 글자를 좌우를 뒤집어서 극장 뒷벽에다 상영을 하는 방법 3. 고글형태의 문자발생안경 4. 상영되는 영사기에서 시간 값을 축출해내는 방법 Ⅲ. 영화자막의 번역 양상 1. 규격에 맞는 번역 2. 중국어와 중국문화의 특징을 살리는 번역 Ⅳ. 영화자막의 원리 Ⅴ. 향후 영화자막의 개선방안 Ⅵ. 결론 참고문헌 본문 Ⅰ. 서론 사회문화적 배경 * 영화 관람은 빅토리아 시대의 여가활동이라는 맥락에서 발전. * 19세기 후반 가정에서의 광학적 놀이기구들, 카드 세트, 피아노 보유, 싸구려 대중소설의 확산, 사진인쇄술로 인한 여행서적 출판. * 대중오락의 분화: 마을 극장, 순회 쇼단의 환등기 슬라이드의 사용, 축음기 사용 콘서트.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하는 보드빌 프로그램. burlesque 삼류극장의 저속한 희곡과 누드 쇼, 대도시의 오락공원에서의 놀이기구들. * 초기 영화는 단 하나의 쇼트로 구성되었고 카메라는 한 장소에 고정, 연기는 하나의 테이크에 담겨짐. * 상영시 보도영화, 풍경영화, 극영화를 하나의 프로그램으로 묶어 다양한 체험을 주려고 노력. 음악 반주를 포함, 영화의 이야기를 설명하거나 환등기와 혼합, 축음기를 사용한 간주곡을 트는 등 흥행 성적은 상영업자가 프로그램을 보여주는 능력에 의존. 서구의 초기 영화 회사들 * 뤼미에르 형제의 회사: 세계 많은 국가들의 풍경영화와 보도영화, 몇몇 희극영화. 기차나 배에 카메라를 설치한 트래블링 쇼트를 구사. * 샤를르 파테의 회사 pathe freres: 온실 형태의 스튜디오 건립, 파테 카메라 판매. * 고몽 사 * 멜리에스의 영화사 * 영국의 브라이튼 학파: 스미스와 제임스 윌리엄슨 * 영국의 세실 헵워스: 1905-14년까지 가장 중요한 제작자. * 미국: 1897년까지 영화의 움직이는 화명에 대한 호응이 사라졌으나 1898년 미-스페인 전쟁을 계기로 전투와 관련된 것을 보려는 관객의 열의에 따라 실제 장면과 연출된 영화들로도 이익을 보게 됨. 예수 수난극도 영화산업의 부활을 도움. 98년부터 대부분 영화가 보드빌 극장에서 상영되는 안정기에 접어듬. * 아메리칸 뮤토스코프: 1890년대 후반에 성공. 옥상 스튜디오에서 영화제작. 99년 아메리칸 뮤토스코프와 바이오그래프로 이름 바꿈. 2년 에디슨과의 소송에서 승리한 후 번창. * 아메리칸 바이타그라프: 양식적으로 진전된 영화를 만드는 중요 회사로 부상. * 에디슨의 회사: 경쟁을 위해 더 긴 영화를 스튜디오에서 제작함(촬영장비 제작 전문가이자 영사기사, 촬영감독인 에드윈 포터의 도움으로). <미국 소방수의 생활>은 일련의 쇼트로 이야기를 구성하는 편집방법에서 큰 진전을 보인 작품. <대열차 강도>(1903)는 최고 인기작. 간격편집 기술 창안의 모태. 포터는 영화산업이 극영화(이야기) 제작에 집중되게 만든 영화 제작인 중 하나. 참고문헌 박윤철, 영화자막에서 시각기호에 의한 축소번역, 한국번역학회, 2007 박윤철, 영화 자막 번역에서 어휘 선택 연구, 한국번역학회, 2008 박윤철, 시각 요소에 의한 정중성 보존 연구 : 영화 자막 번역 중심으로, 한국번역학회, 2008 이성우, 영화 비디오 자막의 국어 오용사례, 한국어문기자협회, 1990 조주형, 자막 번역의 특징으로 본 영화 자막 번역의 효율적 방안, 부산외국어대학교, 2007 홍경아, 텍스트 유형에 따른 영화 자막 번역 연구, 중국어문학연구회, 2011 키워드 영화자막, 영화, 자막, 번역, 비디오 |
2017년 1월 30일 월요일
영화자막영화자막 형태영화자막 번역 양상영화자막 원리영화자막의 개선방안영화자막의 형태, 영화자막의 번역 양상, 영화자막의 원리, 향후 영화자막의 개선방안(영화자막, 영화자막 번역 양상)
영화자막영화자막 형태영화자막 번역 양상영화자막 원리영화자막의 개선방안영화자막의 형태, 영화자막의 번역 양상, 영화자막의 원리, 향후 영화자막의 개선방안(영화자막, 영화자막 번역 양상)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