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신경영전략의 배경 Ⅲ. 신경영전략의 내용 1. 유연화전략 2. 기업문화전략 3. 신인사노무관리제도 Ⅳ. 신경영전략의 확산 Ⅴ. 신경영전략의 고객만족 1. 기업 만족이 아닌 고객만족 1) 고객 만족 경영의 출현 2) 고객 만족 경영의 정의 3) 고객 만족 경영의 현 시점 4) 고객 만족 경영이 나아가야 할 방향 2. 레버리지 개념의 도입 1) 레버러지의 개념 2) 레버러지 개념 도입 사례 3. 새로운 경영철학으로서의 고객만족 경영 1) 고객 만족 경영의 도입 2) 고객만족 경영의 철학 4. 고객만족 경영의 필요성 증후 5. 불만 고객의 파악 1) 미국 백악관의 소비자 행동 조사 2) TARP(technical assistance research program)의 조사 3) 월 스트리트 저널의 조사 Ⅵ. 신경영전략의 노사관계 1. 사측의 노사관계 재편전략 1) 제1경로 2) 제2경로 2. 경제적 생활의 변화 3. 노조운동의 경험 4. 조합원의 의식변화를 자본측이 의도적으로 조작하고 활용 5. 조합원들의 실리주의화 문제 Ⅶ. 결론 참고문헌 본문 Ⅰ. 서론 기업이익 공급자 중심적인 대량생산 대량판매에서 벗어나기 위해 무엇보다도 요구 되는 것은 기업들이 고객만족의 경제성을 이해하는 일이다. 고객만족경영 이라는 것이 표면적인 슬로건으로서의 가치를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실제로 기업에게 최대의 이익을 가져다주는 경영방식이라는 것을 알아야 한다. 몇 가지 실증적인 조사결과가 이를 뒷받침하고 있다. 우선 3천개 이 상의 기업들을 포괄하고 있는 PIMS의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한 조사결과를 보면 고객이 인지하는 품질이 구매의사 결정의 중요한 요소임을 알 수 있다. 동일한 제품/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들 가운데 고객이 인지하는 품질 이 우수한 기업들이 가격조건이 불리함에도 불구하고 시장점유율과 매출 이익률 면에서 상대적으로 앞선 성과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또 고객불만의 영향과 관련된 GM의 유명한 조사결과를 보면 한명의 불만족한 고객을 발생시키는 것은 20명의 고객을 잃는 것과 맞먹는 효과를 가지게 됨을 알 수 있다. ≪ 중 략 ≫ Ⅱ. 신경영전략의 배경 87년의 격렬한 노동분규를 경험하기 이전까지 한국의 기업들은 기존의 경영관리체계의 변화에 대한 필요성을 거의 느끼지 못하고 있었다. 87년 이전까지만 해도 작업장 관리전략은 노조에 대한 체계적 대응의 필요보다는 전적으로 생산 위주의 자본축적 전략에 종속되어 있었다. 87년 이전의 대기업에서는 체계적인 '관료적 통제'(Bureaucratic Control)나 '내부노동시장'의 형성은 기대하기 어려웠다. 참고문헌 가와세 마코토 저, 현창혁 역(2011) / 스토리텔링으로 배우는 경영전략 워크북, 케이펍 이재선(1995) / 신경영전략과 기업문화운동의 사례 연구, 경남대학교 오정석(2002) / 지적행정의 신경영전략에 관한 연구, 청주대학교 전학성(2012) / 지속적 창조혁신의 경영 전략, 유페이퍼 정우택(1996) / 세계화시대의 신경영전략, 세명대학교 최인이(1995) / 신경영전략의 노동통제적 성격, 이화여자대학교 키워드 신경영전략, 경영전략, 신경영, 경영, 고객만족, 신경영전략의 확산, 신경영전략의 노사관계 분석, 신경영전략의 내용 |
2017년 1월 31일 화요일
신경영전략신경영전략 확산신경영전략 고객만족신경영전략 노사관계고객만족노사관계신경영전략의 배경, 신경영전략의 내용, 신경영전략의 확산, 신경영전략의 고객만족, 신경영전략의 노사관계
신경영전략신경영전략 확산신경영전략 고객만족신경영전략 노사관계고객만족노사관계신경영전략의 배경, 신경영전략의 내용, 신경영전략의 확산, 신경영전략의 고객만족, 신경영전략의 노사관계
야외교육(야외학습) 의의, 야외교육(야외학습)과 야외탐사, 야외교육(야외학습) 야외탐구활동, 야외교육(야외학습) 야외활동, 야외교육(야외학습) 지역학습, 야외교육(야외학습) 현장학습, 야외교육 야외수업
야외교육(야외학습) 의의, 야외교육(야외학습)과 야외탐사, 야외교육(야외학습) 야외탐구활동, 야외교육(야외학습) 야외활동, 야외교육(야외학습) 지역학습, 야외교육(야외학습) 현장학습, 야외교육 야외수업
목차 Ⅰ. 서론 Ⅱ. 야외교육(야외학습)의 의의 Ⅲ. 야외교육(야외학습)과 야외탐사 1. 청둥오리 1) 형태 2) 생태 3) 번식지 4) 도래지 2. 흰죽지 1) 형태 2) 생태 3) 번식지 4) 도래지 3. 알락오리 1) 형태 2) 생태 3) 번식지 4) 도래지 4. 흰비오리 1) 형태 2) 생태 3) 번식지 4) 도래지 5. 재갈매기 1) 형태 2) 생태 3) 번식지 4) 도래지 6. 큰재갈매기 1) 형태 2) 생태 3) 번식지 4) 도래지 Ⅳ. 야외교육(야외학습)과 야외탐구활동 Ⅴ. 야외교육(야외학습)과 야외활동 1. 소개하기(인사게임) 2. 간단한 노래와 율동 1) 산 할아버지 2) 학교 가는 길 3) 신난다 3. 짝 짓기 놀이(전체 놀이) 1) 짝 빼앗기 2) 옆에 옆에 3) 짝지놀이 4) 나는 너가 좋아 5) 나눔 4. 조 나누기 5. 조별 대항 경기 1) 탄일종게임과 노래 2) 신문 글자 찾기(노래 제목 제시) - 노래 부르기 3) 토큰 전달하기 4) 대표자 게임 5) 자음 모음 맞추기 놀이 6) 삐에로게임 7) 암호해독 8) 이구동성 게임 Ⅵ. 야외교육(야외학습)과 지역학습 Ⅶ. 야외교육(야외학습)과 현장학습 1. 준비 단계 1) 문헌 수집 2) 지역선정 3) 지질조사 4) 타당성 판단 2. 실시 단계 1) 정밀조사 2) 자연환경 지도 작성 3. 정리 단계 Ⅷ. 야외교육(야외학습)과 야외수업 Ⅸ. 결론 참고문헌 본문 Ⅰ. 서론 지식문명의 발전과정에 따라 지속적으로 진보하는 더욱 많은 양의 지식과 노하우를 효율적으로 그리고 대규모적으로 전달한다는 사명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사명의식에서 바라보면 전통적으로 요구받던 물량적이고 지식중심적인 교육의 틀은 더 이상 적합하지 못하다고 할 것이다. 늘어나는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고 행동의 폭을 넓히기 위해서는 생애를 통하여 학습할 기회가 마련되어야 한다. 이러한 교육적 과제가 성공하려면 교육은 네 가지의 근본적인 학습유형을 중심으로 조직되어야 한다. 물론 이 네 가지 유형은 서로 간에 빈번한 접촉, 교차, 교환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결국 전체로서의 하나를 이루게 된다. 알기 위한 학습은 학습하는 법에 대한 학습을 전제로 하는 것으로서 집중력, 기억력, 사고력을 키워 나가는 것이다. 지식을 얻기 위해 도구(집중력, 기억력, 사고력)의 사용법을 숙달하는 것. 바로 이것이 알기 위한 학습이다. 지식을 획득하는 일은 지속적 과정이며, 모든 형태의 경험들에 의해 풍요로워질 수 있다. 초기교육은 삶의 전 과정을 통한 계속학습을 가능하게 할 씨앗과 터전을 제공하는 것이다. 행동하기 위한 학습은 직업훈련 문제에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즉 배운 바를 실천하도록 가르칠 수 있으며, 미리 예측하지 못한 가운데 생겨나는 미래의 직업을 준비할 수 있는가 하는 점이다. 세계의 경제는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근대의 단순 기술노동자의 형태에서 개인의 능력위주(기술적 지식)의 노동자로 인력이 변화하고 있으며, 서비스부문의 성장 등 다양한 형태로 환경이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환경 변화에 배우고 습득한 지식을 활용하여 창조적으로 대응하게 하는 교육이 바로 행동하기 위한 학습의 목적이다. 세계에는 항상 갈등이 존재하고 있다. 종교적, 문화적, 경제적, 인종적 갈등들은 항상 세계를 위험하게 만들고 있으며 폭발하기 직전의 폭탄을 들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이러한 갈등을 피하고 해결하기 위한 학습이 바로 함께 살기 위한 학습인 것이다. 타인들과 그들의 문화, 정신적 가치를 존중하고 이해하며 공존하기 위한 일련의 노력들이 필요하다. 교육은 이러한 시점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타인을 이해하기 위해 자기 자신을 먼저 이해하게 만들어야하며 가정, 지역사회, 학교에서 먼저 자신이 누구인지를 발견하게 도와주어야 한다. 또한 공동의 목표를 위한 작업이 이루어져야 한다. 스포츠, 문화활동, 사회봉사 등의 교육 프로그램들을 통해 타인과 함께 하는 것들을 자연스럽게 습득하게 한다. 그러한 교육의 바탕에서 인간은 갈등을 조절하고 해소할 수 있는 것이다. 참고문헌 - 김석우, 야외현장학습이 환경 가치 태도에 미치는 효과, 광주교육대학교, 2000 - 박선주, 초등학교 야외교육활동 교육과정 개발 및 적용, 광주교육대학교, 2006 - 박원임, 야외교육으로서의 수련활동과 지도방법, 한국청소년지도육성회, 1990 - 신재한, 교육학개론, 이담북스, 2012 - 이주욱, 상생학교 야외교육 활동 체험에 대한 질적연구, 고려대학교, 2008 - 조원석, 야외활동이 청소년에게 미치는 교육적 영향에 관한 일 연구, 연세대학교, 1986 키워드 야외교육, 야외학습, 교육, 학습, 야외탐사 |
독해력독해학습독해력과 어휘력독해력과 청각장애아동 사례독해력과 독해훈련프로그램독해력의 정의, 독해력과 독해학습, 독해력과 어휘력, 독해력과 청각장애아동 사례, 독해력과 독해훈련프로그램
독해력독해학습독해력과 어휘력독해력과 청각장애아동 사례독해력과 독해훈련프로그램독해력의 정의, 독해력과 독해학습, 독해력과 어휘력, 독해력과 청각장애아동 사례, 독해력과 독해훈련프로그램
목차 Ⅰ. 서론 Ⅱ. 독해력의 정의 Ⅲ. 독해력과 독해학습 1. Myers와 Paris(1978)의 독해에 관한 상위인지적 지식의 연구 2. Kintsh와 Van Dijk(1978)의 독해에 관한 상위인지적 지식의 연구 3. Flavell(1979)의 독해에 관한 상위인지적 지식의 연구 4. Paris와 Jacobs(1984)의 독해에 관한 상위인지적 지식의 연구 Ⅳ. 독해력과 어휘력 1. 독해력 2. 어휘력 Ⅴ. 독해력과 청각장애아동 사례 Ⅵ. 독해력과 독해훈련프로그램 1. 동기유발 2. 미리 훑어보고 생각하기 3. 생각하면서 글 읽기 4. 중심 내용 파악하기 1) 교수 단계 2) 교사-학습자 활동 단계 Ⅶ. 결론 참고문헌 본문 Ⅰ. 서론 최근에 심리학자들은 읽기에 대해 매우 독특한 접근을 하고 있다. 그들은 교육 상황에서 인지(認知), 정서(情緖), 학습자의 행동 등의 독자의 심리 과정을 과학적인 연구를 통해 규명하고자 노력하고 있다(Wittrock, 1991). 사전 학습, 배경 지식, 경험, 능력, 개인적 성격, 정보처리 과정의 전략, 동기와 흥미, 이해 전략, 초인지 전략과 같은 학습자의 심리과정에 대한 지식은 좀더 효과적인 읽기 수업을 설계하고 조절하고 평가하는 중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게 되었다. 또한 이러한 접근은 읽기 교육에 새로운 관심을 불러 일으켰다. 즉, 텍스트와 언어 요인만이 아닌 좀더 다양한 측면에서 효과적인 글 이해와 성취도를 극대화 할 수 있는 방법을 탐구하게 했고, 또 새로운 문식성(literacy)에 대한 이해를 촉진시켰다. 읽고 쓰는 능력을 일컫는 문식성의 수준은 시대에 따라 변해왔다. 몇 십 년 전까지만 해도 이름 석자만 읽고 쓸 줄 알아도 사회 활동에 지장이 없었고 이 정도로도 문식성이 있다고 했지만, 국민 대다수가 고등학교 정도의 교육을 받고, 각종 정보 매체를 통하여 사회생활을 영위해야 하는 오늘날에는 이름 석자를 읽고 쓸 줄 안다고 해서 문식성이 있다고 할 수 없다. 문식성의 개념 역시 시대에 따라 다르다. 과거 산업 사회에서의 문식성의 개념과 정보화 시대로 대변되는 오늘날의 문식성의 개념은 다르다. 과거 학교의 주요 임무는 산업 사회의 일꾼으로 적응할 수 있고, 생산적 일원이 될 수 있는 시민을 만들어 내는 것이었다면, 21세기를 눈앞에 두고 있는 오늘날의 교육은 다르다. 우리는 이제 더 이상 산업 사회에 살고 있지 않다. 우리는 지금 이전에는 상상할 수 없었던 수준의 전문적 지식과, 서비스 관련 분야가 주요 직종이 되며, 발전을 거듭하는 기술과 보조를 맞추기 위해 몇 년마다 과업을 바꾸어야만 하는 정보화 시대에 살고 있다. 게다가, 교육인구의 구성 역시 중산층이 점유하던 과거와는 달리 공교육화(公敎育化)의 가속으로 저소득층이 많아지고 문화 인종간의 다양성이 증대되는 사회로 이동하고 있다. 이런 시대적 상황에서 읽고 쓰는 능력을 일컫는 과거의 문식성은 이제 더 이상 의미를 가질 수 없다. 오히려, 자신의 언어를 조절하여, 목적을 위해 능동적으로 의미를 구성해 가는, 그리하여 높은 사고 작용을 촉진하고, 문제를 해석하고, 적용하고, 분석하고, 범주화하고, 해결하는 차원을 문식성이라 정의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오늘날의 문식성의 개념은 독자의 자발성과 통제력을 전제로 다양한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높은 사고 작용에 활용하는 능력을 말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문식성의 개념 변화에 따라 1990년대 이후 독자의 자발성, 태도, 통제력, 신념 등을 설명할 수 있는 독자의 심리적 요인은 읽기 연구의 주요 관심사로 부각되고 있다(Guthrie, 1996). 이와 더불어 교수 학습에 대한 최근의 연구들 역시 학습자를 학습의 능동적인 참여자로 교수 학습에 결정적인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간주함으로써 학습자 개개인에 대한 관심을 더욱 고조시키고 있다(이용남, 1988). 읽기의 과정을 단순한 문자의 해독으로 보거나 텍스트의 의미는 하나의 고정된 것밖에 없다는 관점에서의 읽기 교수 학습의 관심은 언어와 텍스트에 한정될 수밖에 없다. 그러나 의미는 고정된 것이 아니고 독자와 텍스트간의 상호과정을 통해 구성되어 간다고 할 때, 또 의미구성의 주체는 바로 독자라고 할 때 우리의 관심은 달라질 수 있다. 이런 관점에서의 독자는 읽기의 성패를 좌우하는 핵심 요인이 된다. 참고문헌 김미영(2002), 독서지도 프로그램이 아동의 독해력과 어휘력에 미치는 효과, 이화여자대학교 김순복(2009), 독해력 향상을 위한 중심내용 찾기 단계별 지도 효과 연구, 광주여자대학교 박용한 외 1명(2003), 독해전략 교수법이 초인지와 독해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심리학회 이은주(2003), 명시적인 어휘 지도 방법이 독해력과 어휘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이효진 외 2명(2012), 독해력 증진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임순주(2003), 읽기 전략 수업이 독해력과 읽기 태도에 미치는 효과, 대구교육대학교 키워드 독해력, 독해, 독해학습, 어휘력, 청각장애아동 |
선박(배)의 유형, 선박(배)의 제도, 크레인(기중기)의 필요성, 크레인(기중기) 일정계획, 크레인(기중기) 수학적 모델링, 크레인(기중기)의 구조, 크레인(기중기)과 크레인시스템, 향후 크레인(기중기) 내실화방안
선박(배)의 유형, 선박(배)의 제도, 크레인(기중기)의 필요성, 크레인(기중기) 일정계획, 크레인(기중기) 수학적 모델링, 크레인(기중기)의 구조, 크레인(기중기)과 크레인시스템, 향후 크레인(기중기) 내실화방안
목차 Ⅰ. 서론 Ⅱ. 선박(배)의 유형 1. 비잔틴 선박 2. 지중해 선박 Ⅲ. 선박(배)의 제도 1. 근거법령 2. 목적 3. 대상선박 4. 제외선박 Ⅳ. 크레인(기중기)의 필요성 Ⅴ. 크레인(기중기)의 일정계획 Ⅵ. 크레인(기중기)의 수학적 모델링 1. 컨테이너 크레인 모델 2. 수학적 모델링 Ⅶ. 크레인(기중기)의 구조 Ⅷ. 크레인(기중기)과 크레인시스템 Ⅸ. 향후 크레인(기중기)의 내실화 방안 Ⅹ. 결론 참고문헌 본문 Ⅰ. 서론 현재에도 상용화가 되어 있는 수중익선의 개념은 선체가 물에 잠기는 부분을 극소화하는 것이다. 즉, 선체 밑 부분에 비행기의 날개 같은 구조물을 설치하여 선박의 속도가 일정 수준에 달하면 양력에 의해 선박이 물위로 치솟아서 물속에는 비행기 날개 모양의 구조물만 남게 된다. 이러면 조파저항이 극소화되어 속도 향상 및 운항 성능의 안정이 실현되는 것이다. 이런 형의 선박의 예로는 일본이 개발 중인 테크노슈퍼라이너( Techno-Super Liner : TSL ) 가 있고, 우리나라에서도 부산에서 여수까지의 항로를 운항하고 있는 엔젤호( Angel ) 가 있다. 처음 속도가 낮을 때에는 일반 선박과 비슷하였지만, 일단 선박이 물위로 떠오르게 되자 선박이 파도에 의해 출렁거리는 요동 - 즉, 피칭이나 롤링 같은 것 - 도 거의 없어지고 속도도 매우 빨라지게 됨을 느낄 수 있었다. 또한 당시 이 선박에 비치된 안내서를 보면, 크기에 비해 파도에 대한 안정도도 매우 커서 - 그 작은 선체의 크기에도 불구하고 - 3미터의 파고를 견딜 수 있다. 이러한 수중익선은 외국에서는 이미 널리 쓰이고 있는 선박의 하나이며, 가까운 미래에는 아주 보편화될 선박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공기 부양선이라는 것은 선체 밑 부분에 강력한 공기의 압력을 주입하여 선체를 물위로 띄우는 선박을 칭한다. 즉, 선체와 물 사이에 얇은 공기층이 형성되게 되는 것으로 이 역시 파도의 저항을 극소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 공기 부양선은 속도 향상이라는 장점 이외에도 굴곡이 없는 육지나 늪지에서도 다닐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은 예로는 호버크래프트( Hovercraft )를 들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다양한 장점으로 공기 부양선은 군사용으로 상륙정이나 늪지 순찰정으로도 활용이 되고 있고, 우리나라의 경우는 1월에 인천과 백령도의 구간에 취항한, 세모조선에서 만들어서 운항하고 있는 데모크라시호( Democracy )가 있다. 쌍동선은 가는 선체를 두 개로 하고, 그 위에 구조물을 설치한 배로서 마치 작은 쌍둥이 배 위에 구조물이 있는 것 같다고 해서 쌍동선이라고 불린다. 이 배는 전체 크기에 비해 수중에 잠기는 부분이 적어 조파저항이 적고, 기존의 가는 선체 하나인 선박에 비해 전복될 위험이 적다. 또한 가는 선체들이 놓이는 간격에 따라 면적이 넓어지게 되어 대량 수송도 용이한 장점이 있다. WIG( Wing-In Ground effect ) 선이라는 것은 수면 위 수 미터를 날아서 다니는 선박을 말하는데, 선체가 전혀 물에 닿지 않을 때가 많고 외모도 기존의 비행기와 비슷해서 선박이라는 개념에 적합한지가 논란거리로 되고 있기도 한다. 구소련에서 개발했던 WIG선은 다른 최첨단 선박과 같이 빠른 속도를 자랑했었고, 초저고도 비행이 가능하여 적의 레이다망에 포착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항공기와 선박의 경계선에 있는 WIG선은 매우 독특한 선박이라고 할 수 있다. 현재, 선박이 추진력을 얻는 추진 수단으로 주로 채택되고 있는 것은 풍력을 이용했던 범선이나 인력을 이용하던 노 젓는 배 다음에 나온 프로펠러( Propeller ) 이다. 그러나 프로펠러로는 - 프로펠러 자체가 물의 파동을 유발시키기 때문에 - 일정 속도 이상으로는 한계를 가지고 있어서 다른 추진 수단에의 개발이 한창 진행되고 있다. Ⅱ. 선박(배)의 유형 1. 비잔틴 선박 중세 초 비잔틴족은 지중해에서 막강한 해군력을 갖추고 있었다. 해군력은 종족의 생존과 광대한 제국 통치에 필수적인 요소였다. 콘스탄티노플의 지상 방어군은 우수하여 정면 공격으로 대적할 상대가 없었으나 적의 포위 공격으로 인해 해상 물자 공급로가 차단되지 않도록 항상 해상을 수호해야 했다. 해상을 통한 물자 공급을 유지해야만 콘스탄티노플의 번영을 유지할 수 있었다. 중세 초 비잔틴의 군함은 드로멘이었다. 드로멘은 3단 노의 트라이림과 같이 노를 사용하는 고대 군함이 발전된 형태였다. 전형적인 드로멘은 속도를 내기 위해 좁고 길었다. 50명에서 200명 정도의 노 젓는 사람과 큰 삼각돛이 동력원으로 사용되었고, 돛대는 군함의 앞쪽과 뒤쪽의 사이에 있었다. 드로멘의 선수에는 선취가 설치되어 있어 적의 선박이 움직이지 못하게 고정시킨 후 옮겨 탈 수 있었고 충각은 거의 없었다. 갑판은 가운데, 선수, 선미에 각각 설치되어 있어 궁사와 포병이 적함과 적군을 향해 공격할 수 있었다. 드로멘을 사용한 전투는 주로 충돌하여 적의 선박을 무력하게 만든 후 갈고리로 배를 고정시키고 선원들이 적선으로 쳐들어가는 형태였다. 비잔틴족은 화학 물질의 혼합물로서 공기와 접촉하면 폭발하게 만든 그리스 화약이라고 하는 비밀 무기를 유용하게 사용했다. 비잔틴족은 이 무기를 적의 선박을 향해 호스로 뿌리거나 폭탄으로 만들어 던졌다. 이 무기는 적의 목재 선박을 초토화시켰으며 아랍족과 참고문헌 김대식 외 1명(1999) - 크레인 작업의 안전대책에 관한 연구, 대한안전경영과학회 김인(2003) - 크레인 작업환경의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설계 및 구현, 위덕대학교 대한조선학회 선박유체역학연구(2009) - 선박의 저항과 추진, 지성사 안태건 외 2명(2012) - 크레인 설비의 검사에 따른 기초연구, 대한안전경영과학회 정두영(2012) - 선박설계, 명진 호종관(2012) - 이동식크레인, 구미서관 키워드 선박, 배, 크레인, 기중기, 수학적 모델링 |
위험관리위험관리(리스크관리)의 정의, 종류, 위험관리(리스크관리)의 과정, 감사, 위험관리(리스크관리)의 실패 사례, 위험관리(리스크관리)의 측정방법(VaR, 위험가치측정), 향후 위험관리(리스크관리)의 과제
위험관리위험관리(리스크관리)의 정의, 종류, 위험관리(리스크관리)의 과정, 감사, 위험관리(리스크관리)의 실패 사례, 위험관리(리스크관리)의 측정방법(VaR, 위험가치측정), 향후 위험관리(리스크관리)의 과제
목차 Ⅰ. 서론 Ⅱ. 위험관리(리스크관리)의 정의 Ⅲ. 위험관리(리스크관리)의 종류 1. 국가위험 2. 유동성위험 3. Operational Risk 4. Risk Position Ⅳ. 위험관리(리스크관리)의 과정 1. 일별 정산(marking to the market) 2. 위험분석(risk decomposition) 3. 시장위험 측정지표 1) 확률에 기초한 위험지표 2) 위험요인에 대한 민감도 3) 스트레스 테스트 4. 확률에 기초한 위험지표(VAR) 1) 시장요인에 대한 민감도 2) 시장요인의 변동성 추정 3) 시장요인간의 상관계수 추정 4) 기업이 포지션에 대한 노출을 유지하는 기간을 나타내는 예상보유기간 5) 신뢰구간 5. 민감도 지표(sensitivity measures) 6. 스트레스 검증(stress testing) Ⅴ. 위험관리(리스크관리)의 감사 1. 정기적인 프로세스의 점검 및 보완 2. 내부관리와 외부감사 Ⅵ. 위험관리(리스크관리)의 실패 사례 1. 미국 Savings & Loans(80년대) 2. 말레이시아 Bank Negara 3. Orange County(94년) 4. Metallgesellschaft Refining & Marketing(93년) 5. Diamond Fund(98년) Ⅶ. 위험관리(리스크관리)의 측정방법(VaR, 위험가치측정) Ⅷ. 향후 위험관리(리스크관리)의 과제 Ⅸ. 결론 참고문헌 본문 Ⅰ. 서론 현재 금융기관들은 위험을 여러 가지 다른 방식으로 산출하고 있다. 전사적 차원(enterprise-wide level)에서 사용되는 척도와 각 부서별 또는 각 업무별 수준에서 사용되는 척도들 사이에는 일관성이 없거나 서로 비교할 수가 없는 경우가 많다. 해당 금융기관의 전체 목표와는 상관없이 트레이딩 부문의 한도나 신용부문의 위험한도가 결정되고 있고, 각 부서별 또는 개인별로는 한도설정이 그나마 없는 경우도 많다. 또한 규제 당국에 보고하는 위험척도와 실제 회사 내에 위험통제를 하기 위해 사용하는 위험척도도 서로 다른 경우가 흔하다. 기업 전체 차원에서의 일관성 있는 위험척도의 부재로 말미암아 경제적으로 효율적인 자본금의 관리가 불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여러 가지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사적 위험관리(enterprise-wide risk management)가 도입될 필요가 있다. 전사적 위험관리란 말 그대로 기업 전체의 차원에서 위험을 측정하고 관리함으로써 위험관리가 회사의 전체 목표와 일관되게 만드는 것을 말한다. 즉 모든 부문의 위험을 일관성 있게 측정하여 부문간 비교가 가능하도록 만들뿐만 아니라, 합산이 가능하여 회사 전체 차원에서 위험파악과 이를 통한 자본할당(capital allocation)으로 효율적인 자본금의 관리가 가능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위험조정자본수익률(RAROC)을 통하여 기업가치의 극대화와 일관성 있는 기업의 목표를 추구할 수도 있고, 또 이를 부서별 또는 개인별 성과급에 연계시킴으로써 비용의 절감과 업무의 효율성을 가져올 수도 있다. 전사적 위험관리시스템(ERMS)은 middle office system을 중심으로 front office system과 back office system을 연결하여 회사의 전체 위험을 총괄 관리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전사적 위험관리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위험관리조직, 위험관리과정, 위험관리시스템의 3박자가 갖추어져야 한다. 우선 전문적이고 유연성이 있으며 힘이 있는 위험관리 전담조직이 필요하며 이 부서는 전사적인 차원에서 위험을 다룰 수 있도록 조직도상에 위치하여야 한다. 또한 위험을 모니터하고 통합 관리하는 절차를 확고히 할 수 있도록 업무의 프로세스가 변해야만 하며, 이를 과학적으로 분석하고 뒷받침할 수 있는 도구로써 시스템이 구축되어야 한다. 위험관리시스템 자체는 단지 수치를 제공하는 소프트웨어에 불과하므로 이를 운용하는 조직과 인력 및 과정이 잘 정립되어 실제 기업의 의사결정과정에 이용되어야 그 생명력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전사적 위험관리시스템을 구축하는 과정에서 우리는 서로 다른 시스템에서 계산된 서로 다른 위험의 통합문제에 직면하게 된다. 앞에서도 언급하였듯이 여신 포트폴리오의 경우에 거래상대방 신용위험을 계산하는 방식으로 계산된 Credit VaR(Value-at-Risk)값이라면 문제가 있 참고문헌 ⅰ. 곽연, 위험인식과 위험관리 특성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밭대학교, 2010 ⅱ. 김인태, 위험기반검사 기법을 이용한 위험관리, 한국화재보험협회, 2007 ⅲ. 반혜정, 한국기업의 지배구조와 위험관리 및 기업가치, 한국산업경영학회, 2008 ⅳ. 박성식, 위험관리 효율성 제고측면의 정보시스템 감리 접근 방법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2006 ⅴ. 조희근 외 1명, 위험관리 프로세서와 평가의 새로운 접근,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 1999 ⅵ. 한소연, 요구사항 중심의 위험관리 방안, 숭실대학교, 2008 키워드 위험관리, 리스크관리, 리스크, VaR, 위험가치측정 |
부시행정부 대북정책(한반도정책)의 대북인식, 관련법, 부시행정부 대북정책(한반도정책)의 영향, 고려사항, 부시행정부 대북정책(한반도정책)의 삼각관계, 북한 핵개발, 부시행정부 대북정책(한반도정책) 주한미군
부시행정부 대북정책(한반도정책)의 대북인식, 관련법, 부시행정부 대북정책(한반도정책)의 영향, 고려사항, 부시행정부 대북정책(한반도정책)의 삼각관계, 북한 핵개발, 부시행정부 대북정책(한반도정책) 주한미군
목차 Ⅰ. 서론 Ⅱ. 부시행정부 대북정책(한반도정책)의 대북인식 Ⅲ. 부시행정부 대북정책(한반도정책)의 관련법 1. 북한자유화법 2. 북한인권법 1) 한주민의 인권향상 조치 2) 궁핍상태의 북한주민의 지원조치 3) 탈북난민의 보호조치 4) 그 밖의 보호조치 3. 한반도 평화 안보법 1) 한반도의 평화와 안보의 증진 2) 북한의 인권개선 및 민주화 확대 조치 3) 대북 식량 의료지원 및 탈북자문제 대책 4) 대북 경제개혁 지원 5) 자금규모 Ⅳ. 부시행정부 대북정책(한반도정책)의 영향 1. 한반도 평화체제 전환에 미치는 영향 2. 국방장관회담의 재개와 정례화 3. 북한 위협 평가의 변화 4. 미북관계 전망 5. 재래식 무기협상 6. 한미동맹과 주한미군과의 연관성 문제 7. 한미 역할분담(role-sharing) Ⅴ. 부시행정부 대북정책(한반도정책)의 고려사항 1. 부시 공화당 정부의 등장은 한국의 입장에서 부정적 측면보다 중대한 기회를 조성 2. 북한의 대량살상무기 및 재래식 전력에 대한 한미간의 철저한 팀플레이가 요망 3. 향후 군비 통제는 한반도의 핵심 쟁점 Ⅵ. 부시행정부 대북정책(한반도정책)의 삼각관계 Ⅶ. 부시행정부 대북정책(한반도정책)의 북한 핵개발 Ⅷ. 부시행정부 대북정책(한반도정책)의 주한미군 Ⅸ. 결론 참고문헌 본문 Ⅰ. 서론 이라크 전쟁 다음은 한반도라는 것이 공공연하게 예견되어 왔다. 미국은 이라크 전쟁을 북에 대한 무력시위와 한반도 전력증강의 계기로 충분히 활용하였다. 미국은 한미연합훈련이 마무리된 후에도 F-117 스텔스 폭격기와 F-15E 이글 전투기와 육군특별기동대가 잔류할 것이라고 밝힘으로써, 미국은 한반도에서 사실상의 군사적 시위를 벌이고 있다. 한편 일본 역시 항공자위대의 조기경보기(AWACS) E767을 동해 상공에 배치하는 방안을 검토중이며, 최근 대북정찰용 인공위성을 발사했다. 최근 <프레시안>에서 보도한 <글로벌시큐리티>의 OPLAN 5027 은 \ 서울 시민 4백 50만이 죽어도 북한 붕괴시키겠다\ 는 미국의 가공할 만한 전쟁 음모를 그대로 보여준다. 부시정권은 이른바 제한적 정밀폭격(surgical strike; 외과수술적 타격) 혹은 족집게 폭격(pin point strike)을 감행할 가능성을 여전히 열어 두고 있다. 그러나 짧은 기간에 한반도 전쟁위기가 현실화 될 가능성은 높지 않아 보인다. 북이 외무성 대변인 발표에서 다자회담을 수용할 의사가 있음을 밝힌데 이어 23일 북경에서 북-미-중 3자 회담이 시작됨으로서 새로운 국면을 맞고 있다. 북경 3자회담은 미국의 입장에서 양측면을 갖고 있다. 하나는 이라크 전쟁이라는 가장 효과적인 무력시위를 통해 북미직접대화 입장을 갖고 있던 한국정부를 미국의 입장으로 돌려세우고, 전후 처리라는 먹이감을 통해 중국을 끌어 들여 북으로 하여금 다자회담을 수용하게 만든 측면이며, 다른 하나는 이라크 전쟁으로 인해 격화된 반전반미 여론과 대화자체를 거부할 경우 한국정부를 통제하기 어려워질 수 있다는 측면을 고려한 점이다. 북은 중국, 러시아 관계에 대한 자신감, 다자대화를 거부할 경우 중국과 남측정부의 반발로 국제적 고립을 초래할 수 있다는 점이 고려되었을 것이다. 그러하기 때문에 북경3자회담을 계기로 대결국면에서 대화국면으로 전환하는 것으로 이해하는 것은 섣부르다. 콜린 파월 미국무장관은 16일(현지시간) AP통신과의 인터뷰에서 \ 길고 험한 과정이 시작됐다고 우리는 믿고 있다\ 며 \ 우리는 그들(북한)의 핵무기개발 프로그램 외에 다른 대량살상무기의 개발과 확산, 그리고 미사일 프로그램에 대한 우리의 관심을 분명히 밝힐 것\ 이라고 말함으로서 23일 중국 북경에서 열리는 북-미- 중 3자 회담으로 시작되는 협상의 앞날이 간단치 않을 것임을 예고하였다. 여기에 재래식무기의 감축 및 후방배치 문제, 인권문제 등을 걸어 이북의 굴복을 강요할 것이며 북미불가침조약 체결에는 응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분명히 하고 있다. 북 또한 다자회담을 수용하는 전제조건으로 미국의 대북정책의 근본적 전환을 요구하고 있다. 북과 미국 모두 자신들의 근본적 입장을 포기하지 않은 채 여러 가지 이유들로 인해 대화의 테이블에 앉은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이제 북미 각축은 본격적인 단계에 돌입하였다고 할 수 있다. 94년 전쟁위기 때도 협상과 전쟁위기가 병행된 점을 보더라도 다자회담의 시작이 전쟁위기의 해소로 보는 것은 위험하며, 오히려 언제든지 대화가 깨지고 군사적 수단이 동원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이와 함께 한반도 정세를 인식함에 있어서 잊지 말아야 할 것이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우리의 목표가 한반도에서 전쟁을 막는 데만 있는 것이 아니라는 사실이다. 무서운 일은 전쟁만이 아니라 이 상태가 장기화되고 분단이 영구화되는 것이다. 걸프전 이후 10여 년에 걸친 미국의 봉쇄정책이 석유강국 이라크를 어떻게 파멸로 몰아넣었는가를 우리는 똑똑히 보았다. 그리고 저항 능력의 상실은 곧 전쟁이라는 것도 확인하였다. 미국의 대북봉쇄는 그 자체가 이미 전쟁이다. 미국의 대 참고문헌 김수암 - 부시행정부의 대북인권정책, 한국정치외교사학회, 2006 김성은 - 부시 행정부의 대북 핵정책 변화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국방대학교, 2009 박원곤 - 부시행정부의 대북정책 평가 및 전망, 한국군사학회, 2004 서병철 - 클린턴 행정부와 부시행정부의 대북정책비교, 국방대학교, 2007 이영일 - 미국 부시행정부의 대북정책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2004 지신웅 - 미국 클린턴과 부시 행정부의 대북정책에 관한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2006 키워드 부시행정부, 대북정책, 한반도정책, 핵개발, 주한미군 |
미국 이라크침공(미국 이라크침략)의 원인, 명분, 미국 이라크침공(미국 이라크침략)의 이라크재건, 외국반응, 미국 이라크침공(미국 이라크침략) 반전평화운동, 미국 이라크침공(미국 이라크침략) 미국패권전략
미국 이라크침공(미국 이라크침략)의 원인, 명분, 미국 이라크침공(미국 이라크침략)의 이라크재건, 외국반응, 미국 이라크침공(미국 이라크침략) 반전평화운동, 미국 이라크침공(미국 이라크침략) 미국패권전략
목차 Ⅰ. 서론 Ⅱ. 미국 이라크침공(미국 이라크침략)의 원인 Ⅲ. 미국 이라크침공(미국 이라크침략)의 명분 Ⅳ. 미국 이라크침공(미국 이라크침략)의 이라크재건 Ⅴ. 미국 이라크침공(미국 이라크침략)의 외국반응 1. 일본 2. 호주 3. 러시아 4. 아랍권 5. 이라크 Ⅵ. 미국 이라크침공(미국 이라크침략)의 반전평화운동 Ⅶ. 미국 이라크침공(미국 이라크침략)의 미국패권전략 Ⅷ. 결론 참고문헌 본문 Ⅰ. 서론 이라크전쟁을 전후하여 미국의 대외정책은 세계적으로 비판의 대상이 되었다. 그의 일방주의적 정책에 대한 반감, 혹은 그로 인한 반미감정은 이미 이라크전쟁 이전에도 서서히 형성되고 있었다. 특히 미국이 대외관계에서 가장 중시하는 서유럽과의 전통적 유대관계를 손상시킨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9 11 이후 치러진 아프간전쟁은 전 세계 여론의 지지를 받았다. 그러나 뒤이어 미국이 이라크를 공격하기 전부터 미국의 이라크정책에 대한 세계여론은 악화되기 시작했다. 미국이 이라크전쟁을 준비하고 있던 시점인 봄과 여름, 유럽 각 국 주민들을 대상으로 실시된 여러 조사기관들의 여론조사 결과는 유럽인들의 미국의 대외정책에 대한 이미지가 아주 나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그들 중 압도적 다수는 미국은 "자국의 이익을 위하여 테러와의 전쟁을 치르고 있다"고 믿고 있으며, 유럽인들의 일상 대화에서 "미국식"이란 새로운 유행어는 "다른 사람들을 고려하지 않는 방식"을 의미한다. 심지어는 부시정부의 일방주의는 지금까지 미국의 외교정책에 호의적이었던 유럽인들도 반미주의로 돌아서게 만들고 있다. 한 유럽 기업인의 다음과 같은 언질이 이러한 관점을 잘 요약하고 있다. 이차대전이 끝난 시점에서 미국은 최강국이었다. 그 때 미국은 국익을 폭넓게 정의하는 방식으로, 즉 다른 나라들로 하여금 미국의 이익을 받아들이면서 자국의 국익을 정의하는 것이 매력적이라고 여겨지는 방식으로 새로운 세계를 창조하였다. 미국은 특히 전 세계적 차원에서 제도, 적절한 절차, 법의 지배를 만들기 위하여 노력하였다. 지금 미국은 또 한번 가장 강력한 국가가 되었고, 세계는 다시 구조조정의 시기에 있다. 그런데 미국은 지금 누구와도 상의하지 않고, 지난 반세기 동안 스스로가 지지해 온 모든 것에 등을 돌리고 있으며, 국익을 당면한 군사안보라는 좁은 의미로 정의하고 있다. 다른 기관들의 조사결과도 비슷했다. 미국인들과 유럽 5개국 주민들을 대상으로, 독일 '마샬재단'과 이탈리아 '콤바이아 디 산파올로' 재단이 실시한 조사에서도 유럽인들 사이의 미국대외정책에 대한 지지도가 1년 사이 8% 하락했음을 보여주고 있다. 유럽뿐만 아니었다. 그 동안 많은 학자들이 조사결과를 인용해 온 퓨 리서치(Pew Research)에 의하면, 이라크전쟁 이후 중동 지역의 대미감정은 최악의 상황이다. 미국 입장에서 이 중에서 특히 중요한 것은 점점 벌어지고 있는 듯이 보이는 미국과 유럽과의 균열이다. 만약 이것이 심화된다면, 미국의 대외정책에 있어서 가장 심각한 문제이고, 어떤 측면에서는 미국의 문명적 뿌리와의 단절을 의미하는 만큼, 지난 1-2년 사이에 미국-유럽 사이의 균열의 원인, 전망 등의 문제를 다룬 언론기사, 미국의 싱크탱크들이 개최한 세미나, 그리고 논문이 많다. 균열의 원인에 대한 논의로서는 미국과 유럽 양쪽에서 많은 주목을 네오콘 이론가 케이건(Robert Kagan)의 논문과 그 논문을 발전시킨 책이 있다. 국제분쟁의 해결에 있어서 국제기구, 제도, 절차를 중시하는 유럽 문화와, 이런 국제기구나 제도를 거추장스럽게 생각하고, 절차보다는 결과, 협상보다는 힘을 중시하는 미국문화의 차이는, 그에 의하면, "깊고, 오랜 시간에 걸쳐 형성되었고, 따라서 앞으로도 계속 지속될" 것이다. 유럽인들이 금성(Venus)인이고, 미국인이 화성(Mars)이 된 이유는 양측이 처한 "역사적 현실"이 다르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그의 화려한 수사, 설득력 있는 논지를 거칠게 압축한다면, 요컨대 일방주의는 강자의 논리, 다자주의는 약자의 논리라는 것이다. 즉 2차대전까지 수백 년 동안 유럽 열강들이 세계를 지배할 때는 그들은 지금의(일방주의적) 미국과 비슷한 주장과 행동을 했고, 18-9세기 약자였던 미국은 지금 유럽처럼 주장하면서, 국제법, 국제제도를 주장했다는 것이다. 상황이 바뀌어, 2차대전 이후 유럽 각 국이 식민지를 잃고, 미국의 군사적 보호아래서 점차 대외영향력을 상실해가면서 약자의 논리를 개발해 갔다는 것이다. 그러나 물론 위와 같은 그의 논지를 비판하는 사람들도 많다. 비판가들은 미국-유럽의 균열은 네오콘 탓이며, 따라서 네오콘이 제거되면 그 관계는 정상으로 회복될 것이라는 것으로 보고 있다. Ⅱ. 미국 이라크침공(미국 이 참고문헌 김수남, 미국의 이라크 침공 이후 중동의 민주화 추세, 국제문제사 국제문제연구소, 2006 김성진, 이라크 전쟁과 미국의 정보 실패에 대한 연구, 연세대학교, 2010 김재두, 이라크전 미국의 정치 군사전략과 중동질서, 한국군사학회, 2003 문정인, 미국의 이라크 침공 3년, 본질과현상사, 2006 민주언론운동시민연합 외 1명, 이라크침공 관련보도 무엇이 문제인가, 민주언론시민연합, 2003 Mitchell M. Zais 외 1명, 이라크에서의 미국의 전략, 대한민국 육군, 2007 키워드 미국, 이라크침공, 이라크침략, 이라크, 반전평화운동 |
부시행정부 한반도정책(대북정책)의 성격, 배경, 부시행정부 한반도정책(대북정책)의 개입주의, 관계개선노력, 부시행정부 한반도정책(대북정책) 북한핵보유, 북한입장, 부시행정부 한반도정책(대북정책)의 QDR
부시행정부 한반도정책(대북정책)의 성격, 배경, 부시행정부 한반도정책(대북정책)의 개입주의, 관계개선노력, 부시행정부 한반도정책(대북정책) 북한핵보유, 북한입장, 부시행정부 한반도정책(대북정책)의 QDR
목차 Ⅰ. 서론 Ⅱ. 부시행정부 한반도정책(대북정책)의 성격 Ⅲ. 부시행정부 한반도정책(대북정책)의 배경 1. 보수세력의 반대 2. 현대 그룹의 재정적 위기 3. 서해교전 발발 4. 대북송금의혹사건 Ⅳ. 부시행정부 한반도정책(대북정책)의 개입주의 Ⅴ. 부시행정부 한반도정책(대북정책)의 관계개선노력 1. 미 북관계 1) 미 북관계 개선의 도전 : 핵 투명성/미사일/재래식 군비통제 2) 미 북관계 개선의 기회 2. 남북관계 1) 남 북 미 3각 관계 2) 남북관계의 종속변수화 Ⅵ. 부시행정부 한반도정책(대북정책)의 북한핵보유 Ⅶ. 부시행정부 한반도정책(대북정책)의 북한입장 1. 북한은 부시 정부 등장이후 대미 비난을 강화, 예정되었던 김정일 답방 등 남북대화를 일방적으로 동결 2. 과거의 노선으로 회귀하기에는 많은 리스크(risk)가 존재 3. 미국과의 대화 모멘텀을 회복하는데 중점 4. 대미 대화를 부정하지는 않으나, 전제조건을 내세움 5. 미국의 입장을 완화시키고 유리한 협상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북한의 움직임 Ⅷ. 부시행정부 한반도정책(대북정책)의 QDR(4개년국방보고서) Ⅸ. 결론 참고문헌 본문 Ⅰ. 서론 미국의 제국주의적 질서의 변화에 다시 관건이 되는 것은 역시 한반도의 상황이다. 미국은 한반도 정세에 자신의 군사주의 노선 정당화에 사활을 걸고 있으며 최근의 조-미간의 관계는, 북한에 대한 미국의 대화 제의만 있었을 뿐, 실질적인 대화는 아직 그 기미를 보이고 있지 않다. 한반도 정세 전반에 걸쳐 일종의 정체현상이 지속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런 가운데, 뉴욕 타임즈지는 지난 5월, 북한과의 대화에서 미국이 빗장을 높여 강경입장을 취하고 있다고 지적하고 나와 주목을 끌었다. 기사 전반의 논조는 부시 정권이 클린턴 정부 때의 대화성과를 이어 나가지 않고 새로운 장애를 만들고 있는 것 아니냐는 것이었다. 기사 제목부터가 "미국, 대북 대화 요구 수준 높여", "대화 조건 강화"등으로 붙여져 있었다. 미국의 입장이 까다롭게 바뀐 것이 대화가 정체되고 있는 주 요인이 아닌가라는 논리가 기사 밑바닥에 깔려 있는 셈이었다. 이것은, 뉴욕 타임즈지가 부시 정권 등장 이후, 클린턴 정부가 축적한 대북 대화 성과를 부정하고 긴장고조 쪽으로 돌아서고 있다는 비판을 했던 것과 그 맥락이 이어지고 있다. 대화 제의는 했지만, 상대가 받아들일 수 있는 제의인가라는 점을 짚고 있는 것인데, 클린턴 정부 때처럼 미사일 문제만 해결되면 정상회담과 국교수립까지 가는 구상은 없던 것이 되었고, 과거 핵 문제를 비롯하여 재래식 무기문제도 미국이 원하는 방식으로 북한이 응해야 대화의 진전이 있을 것이라는 부시 정권의 입장은 문제가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비판에 대하여 부시 정권은 한마디로, 북한과의 대화가 급할 것이 없다는 입장이다. 북한이 계속 위협적으로 나오고 있는데 이에 대하여 보상하는 방식으로 문제를 풀지 않겠다고 대응하고 있다. 미국이 여기서 <위협>, <보상> 등의 단어를 쓰고 있는 것은 주목해봐야 할 대목이다. 북한이 제네바 협상에서 미국이 약속한 원자력 발전소 완공기한에 대한 책임을 묻는 것 자체를 <위협>이라고 인식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북한의 요구 일체를 위협으로 <보상>을 얻어내려는 전술이라고 보고 있는 것이다. 결국, 부시 정부는 클린턴 정부가 북한과 맺은 협상이나 대화의 성과가 모두 깡패국가 북한의 위협에 대하여 보상하는 방식으로 일을 처리한 결과라고 보고 있는 것이다. 즉, 부시 정부는 북한과의 미사일 문제가 거의 타결되어 가는 시점에서, 클린턴 대통령의 방북논의가 있었던 것, 국교수립 가능성, 식량지원 등을 포함한 경제지원을 모두 <북한의 위협에 대한 보상>으로 인식하고 있다. 특히 이러한 일련의 보상정책의 물꼬를 트게 될 계기가 바로 클린턴 대통령의 방북이라고 보고 이를 어떻게든 저지하려 했던 것이고 그러한 시도는 결국 성공했다고 하겠다. 부시 정부는 현재의 상황에서는 북한의 지도자를 신뢰할 수 없어 대화가 불가능하다는 것을 밝힌 셈이며, 그래도 대화가 필요하지 않느냐는 국제적인 요구나 압력에 대해서는 상대가 받아들이기 어려운 조건을 내걸고 대화제의를 함으로써 대화의 성립 자체가 힘들도록 만들어 버린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런 식이라면 혹 대화가 시작된다고 하여도 대화의 과정 자체가 갈등과 긴장을 높이는 과정이 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렇게 마냥 대화가 단절된 상태에서 미국의 대북 강경책은 일정한 한계에 직면할 수밖에 없는 형편이다. 유럽이 미국의 대북 정책이 만들어 놓고 있는 틈바구니에 들어서서 미국이 쥐고 있는 한반도 정세의 주도권에 도전하고 있고, 당장 한국 정부가 미국의 대북 강경책에 쉽게 동조하고 참고문헌 김정우(2005), 집권 2기의 부시행정부를 분석한다 :미국과 한반도, 국제문제사 국제문제연구소 김성한(2002), 미국 부시 행정부의 동아태전략과 한반도, 외교안보연구원 이인호(2001), 미국 신행정부의 동북아 및 한반도 정책 전망, 한국국방연구원 이철기(2002), 미국 부시행정부의 패권전략과 주변정세 및 한반도정세, 민주화를 위한 전국교수협의회 전재성(2005), 부시행정부 2기 미국의 외교정책과 한반도, 한국평화연구학회 최정철(2009), 미국의 외교정책과 부시 대통령의 리더십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키워드 부시행정부, 한반도정책, 대북정책, 개입주의, 북한 |
북한 7 1조치(북한 7 1경제관리개선조치) 핵심내용, 북한 7 1조치(북한 7 1경제관리개선조치) 대외개방, 북한 7 1조치(북한 7 1경제관리개선조치) 농업, 북한 7 1조치(북한 7 1경제관리개선조치) 사회보장제도
북한 7 1조치(북한 7 1경제관리개선조치) 핵심내용, 북한 7 1조치(북한 7 1경제관리개선조치) 대외개방, 북한 7 1조치(북한 7 1경제관리개선조치) 농업, 북한 7 1조치(북한 7 1경제관리개선조치) 사회보장제도
목차 Ⅰ. 서론 Ⅱ. 북한 7 1조치(북한 7 1경제관리개선조치)의 핵심내용 Ⅲ. 북한 7 1조치(북한 7 1경제관리개선조치)의 변화과정 Ⅳ. 북한 7 1조치(북한 7 1경제관리개선조치)의 효과 Ⅴ. 북한 7 1조치(북한 7 1경제관리개선조치)의 대외개방 Ⅵ. 북한 7 1조치(북한 7 1경제관리개선조치)의 농업 Ⅶ. 북한 7 1조치(북한 7 1경제관리개선조치)의 환율제도 Ⅷ. 북한 7 1조치(북한 7 1경제관리개선조치)의 사회보장제도 Ⅸ. 결론 참고문헌 본문 Ⅰ. 서론 북한은 2002년 7.1조치 이후에도 나름대로의 경제적 변화를 추진하고 있다. 지금은 핵문제로 거의 잊어져 가고 있으나 2002년 9월의 신의주특별행정구 기본법 발표는 세계를 깜짝 놀라게 한 획기적인 사건이었다. 특별행정구에 입법.행정.사법 3권을 부여하고 국제적 경제개방구로 건설하기 위해 시장경제원리에 입각한 제도를 과감하게 도입할 것을 천명한 바 있다. 지금은 동북3성 개발을 중시하는 중국의 견제로 진전이 지연되고 있으나 최소한 그 당시 표출되었던 북한의 개혁개방 의지에 대해서는 인정하지 않을 수 없다. 그 후에도 2002년 10월에 금강산을 관광지구로, 11월에는 개성을 공업지구로 지정하는 등 북한으로서는 2002년 하반기를 숨 가쁘게 개혁개방을 향해 보냈다고 평할 만 하다. ≪ 중 략 ≫ Ⅱ. 북한 7 1조치(북한 7 1경제관리개선조치)의 핵심내용 7 1 경제관리개선조치의 핵심은 ①국정가격의 현실화, ②임금의 대폭적인 인상, ③기업의 자율성과 책임성 강화, ④경제계획의 부분적 분권화 강화조치 등이다. 이에 따라 쌀의 국정가격은 종전의 8전에서 44원으로 550배 인상되었으며, 옥수수 가격도 종래 6전에서 24원으로 인상됐다. 그러나 식량배급제는 폐지하지 않았다. 또한 평양의 시내버스와 지하철 요금은 종전 10전에서 2원으로 20배 인상됐으며, 평남 평성에서 함북 남향 구간의 철도 침대칸 요금은 종전 50원에서 3,000원으로 올랐다. 주택사용료도 지금까지 한 채에 5~10원 정도였으나, 이를 평당 7~15원으로 인상, 웬만한 집 한 채의 사용료가 몇 백 원이 되었으며, 가전제품도 10~15원의 세금이 붙게 되었다. 참고문헌 고려대 북한학연구소(2003) / 7.1 경제관리개선조치의 평가와 향후전망 김정호(2005) / 『7.1 경제조치』와 북한사회의 변화, 서강대학교 북한연구소(2003) / 북한 경제의 현황과 전망 : 최근 경제관련 변화조치의 효과를 중심으로 이청수(2007) / 북한의 경제개혁에 관한 연구 :7 1경제관리개선조치를 중심으로, 대진대학교 조영국(2005) / 북한 개혁 개방정책의 성격에 관한 연구 :7.1경제관리개선조치의 내용과 특징을 중심으로, 북한연구학회 하상식(2004) / 북한경제의 개혁전망 : 7.1 경제관리개선조치 의 성격평가를 중심으로, 한국동북아학회 키워드 북한 7 1조치, 북한, 7 1경제관리개선조치, 대외개방, 농업, 7 1조치, 사회보장제도, 핵심내용 |
피드 구독하기:
글 (Atom)